매일신문

잃어버린 낙원 낙동강 하구-(6)생태계 복원 대책

낙동강 하구를 철새의 낙원으로 되살리기 위해서는 각계 각층의 환경 전문가들이 종합적인 관리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상설기구가시급하다.

현재 낙동강 하구에는 문화재 보호구역과 자연생태계 보전지역 등 무려 5가지의 보호장치가 마련돼 있지만 낙동강환경관리청과 부산 사하구청, 건설교통부 등 이를 관리하는 관청이 뿔뿔이 흩어져 있을 뿐 낙동강 하구 전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책임지는 기관이 없다.

게다가 부산지역에는 낙동강보존회와 낙동강공동체, 부산환경운동연합 등 다양한 환경단체가 존재하지만 이들이 서로 정보를 교류하는 틀이 마련돼 있지 않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낙동강 하구를 복원하기보다는 더 이상 파괴되는 것을 막는 데 급급한 정부기관과 복원을 촉구하는 환경단체의 불협화음이 커져만 가는 실정이다.

부산시는 최근 '낙동강 하구 일원 환경관리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있지만 현재 서울의 모 환경용역업체가 구상하고 있는 이 계획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면밀히 검토할 만한 기구가 없다.

따라서 문제점이 발생하면 또 다른 용역업체를 찾아야 할 형편이다.

하구의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중·상류지역의 오염원을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프랑스와 독일 등 5개 국가에 걸쳐 오염물질이 흘러드는 라인강이 최근 서서히 되살아나는 것도 '라인강보호를 위한 국제위원회'의 왕성한 활동 덕분이다.

지난 87년 해당 국가들이 모두 참여해 결성한 이 단체는 올해까지 라인강 주변의 유독성 물질 배출량을 50%로 줄이고 생태계 복원을 완성한다는 계획을 세워 유럽 전역에 124개의 수질감시소를 설치하는 등 체계적인 관리에 들어갔다.

덕분에 지난 95년 깨끗한 물에서만 살 수 있는 연어와 송어가 독일의 이피츠하임댐 근처로 50년만에 되돌아 오는가 하면 지난 96년 라인강의 납과 수은, 다이옥신농도가 10년전에 비해 70%나 줄어들었다는 보고가 나오는 등 죽었던 라인강이 되살아나고 있다.

환경부는 최근 '낙동강수계 물관리 종합대책'을 확정하고 △갈수기 하천유지용수 증대반과 △취수원 다변화방안반 △오염총량관리제 연구조사반으로 이뤄진 '낙동강 물이용 조사반'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영남권 환경단체들은 "낙동강 유역에 댐건설을 전제로 한 물이용조사반에는 참가할 수 없다"고 반발하고 있어 이들의 지혜를 모으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낙동강 상·하류지역 주민은 전국평균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부족한 강물의 사용권을 두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갈등은 대구시의 강정취수보 건설문제를 두고 지난해 부산·경남지역 시민단체와 대구시가 벌인 법정 공방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양측은 다행히 "갈수기에도 각 지역 수요에 비례해 균등하게 물이 공급되도록 실천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는 데 합의했으나 이를 계기로 "상설협의체를 구성하자"는 부산지역 시민단체의 요구는 끝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따라서 낙동강 하구의 생태계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정부와 자치단체, 환경 전문가들이 한 데 모여 합리적인 복원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큰 틀을 마련하고 해당지역 주민들이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낙동강 지킴이로 나서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