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總選에 지역감정 이용 말라

그토록 경계했던 지역감정 문제가 선거가 본격화 되자마자 불거지고 있다. 김종필(JP) 자민련명예총재의 지역감정 원조(元祖)론을 시작으로 지역감정 발언은 도처에서 불타고 있다.

JP는 김대중대통령(DJ)이 "지역감정 원조는 5.16후의 박정희"라는 발언에 대한 진실규명 차원이라는 자민련 변웅전대변인의 해명이 있었으나 그 의도는 지난 총선때 효과를 본 지역감정을 또 한번 써먹어 보자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지고 있다. 지난 총선때는 핫바지론으로 재미를 보았었다. 이렇게 되자 한나라당 이회창총재는 "지역감정의 1차 책임은 4자필승론을 들고나온 김대중대통령에 있다"고 치고 나왔나 하면 대구서 열린 한나라당 필승결의대회에서는 "지역감정 심화는 주요 권력기관에 호남인사를 포진 시킨 여당의 편중인사 때문"이라는 원인론까지 나왔다. 이에 민주당은 3급이상 공무원의 비율을 들면서 편중인사가 아니라고 대응하는 한편 지역감정은 "71년 김대중후보가 출마했기 때문에 생긴 것이 아니라 유신 이후 지역차별이 노골화 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김대통령은 지역주의 최대의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문제는 지역주의 원조가 누구냐에 있지 않다. 이미 실제상황이 되어버린 지역주의의 원조가 누구냐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지역주의를 이용하여 유권자의 판단과 선택을 흐리게 하는 데 있는 것이다.

이런 지역주의는 없어져야 한다는 데는 누구나 동의 한다. 그래서인지 정치인들은 '지역감정의 원조가 누구냐' 아니면 '지역감정의 책임은 어디에 있느냐' 하는 간접적 형태로 지역감정을 들고 나오는 수법을 쓰고 있다. 여기에는 DJ의 호남인맥 발호 발언도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때로는 구태의연한 직설적 호소의 지역주의도 나오고 있다. '이 나라 정부는 광주에 예산을 집중 배정하고 있다'느니 '이회창총재의 위선과 허위로 부산은 분노하고 있다'는 등이 그것이다. 그뿐이 아니다.

솔직히 말해 지역주민들도 편협된 지역감정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누구는 무소속이지만 당선되면 어디로 갈 것이니 괜찮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래서는 안된다. 유권자들도 정치인들의 지역감정 이용을 비판하기 전에 자신부터도 지역감정에서 벗어나는 용기와 이성을 가져야 한다. 한 나라의 정치수준은 그 나라의 국민의식 수준을 넘지 못한다는 경고를 국민은 따갑게 들어야 한다. 유권자의 몫이 어느 때보다 큰 지금이

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