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8일 쯤이면 여야 각 정당의 비례대표 명단이 일제히 공개된다. 정치권의 관심도 누가누가 당선 안정권 내에 들어 가느냐에 쏠리고 있다. 특히 공천 후유증 무마책의 일환으로 비례대표 약속을 '남발'한 한나라당의 후보 면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가 비례대표와 관련, 구체적 순번이나 아니면 당선권 내지 당선 근접권 자리를 보장한 지역 출신 인사는 3명.
대구 중구 공천을 포기한 대가로 선대위 상황실장을 맡아보고 있는 박창달 의원이 이 총재와 인접한 안정권을 약속받았고 대구 수성을구 공천에서 밀려난 박세환 의원 역시 상품성이나 직능대표의 성격상 당선권 내 자리 배정이 예상되고 있다. 여기에다 대구 수성갑구를 김만제 전 포철회장에게 내 준 이원형씨 역시 당선권에 인접한 18번을 약속받고 지역구 인수·인계에 '협조'하고 있다.
이대로라면 당선 안정권을 최소 13번에서 최대 18번까지로 볼 때, 또 지역적 안배 차원에서 볼 때도 대구에서만 3명이 18번 안에 배치되는 파격적인 대우다.
그러나 이 총재의 고민은 자리는 한정돼 있고 수요는 넘쳐나는 데 있다. 경북도의원들도 한 자리를 요구하고 있다. 이 총재는 가뜩이나 구미에서 무소속 도의원이 공천받은 것에 대해 '물먹었다'고 생각하며 당 지도부에 대한 험담을 서슴없이 하고 있는 경북도의원들의 요구를 마냥 무시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이들은 구체적으로 적어도 18번 이내에는 들어가야 된다고 주장한다. 이 총재는 구체적 약속은 안했지만 13일 포항에 내려와서도 "어떤 식이든 배려하겠다"고 말했다.
도의원들의 요구까지 포함되고 게다가 여성 후보 30% 배치 규정을 감안한다면 대구·경북의 비율은 사실상 30%를 훨씬 넘는 대단한 '배려'가 아닐 수 없다. 정치권에서는 이 총재의 이같은 약속이 '공수표 남발'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李東寬기자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