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교권 붕괴 통탄한다

최근 교육현장에서 잇따라 일어나는 어처구니 없는 사태는 충격을 넘어 허탈감을 안겨준다. 스승의 권위가 어쩌다가 이 지경에 이르렀는지, 통탄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가 과연 제대로 된 사회에 살고 있는가 하는 의문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한때는 학부모가 학생들이 지켜보는 앞에서 교사의 뺨을 때리고, 여중생이 교사를 폭행하는가 하면, 고교 교사가 학생에게 체벌했다고 학생이 신고해 경찰이 연행하는 일까지 일어나 우리를 경악케 했다. 그러더니 최근에는 경북의 한 고교에서 여학생이 담임교사의 머리채를 잡고 폭행하는 등 여러 학교에서 학생이 스승에게 직접 주먹을 휘두르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니 기가 막힐 따름이다.

그동안 교육계에서는 교사의 권위가 추락할대로 추락했다는 자성과 개탄의 소리가 높았다. 교사 집단 스스로 교권 회복을 위한 정화작업을 해야 한다는 여론도 있었다. 그러나 최근의 이같은 극단적인 교권 침해 사태는 벼랑 끝에 몰린 교권과 일선 교육 현장의 붕괴 뿐 아니라 우리 사회의 윤리.도덕마저 땅에 떨어졌음을 말해 준다. 이런 풍토에서 어떻게 교육이 제대로 될 수 있겠는가.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다'식의 교사에 대한 존경심은 사라진지 오래라 하더라도 교사가 최소한의 인권마저 보호받지 못한 지경에 이르렀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려면 대입 제도.교육과정.교육 여건 개선 등 다각적인 처방이 따라야겠지만 우선 교권부터 회복해야 할 것이다. 교사가 다시 힘을 내어 올바른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여건과 대우를 개선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며, 교사들의 사기를 높여 주는 방안도 강구돼야만 한다.

교사와 교권의 존중은 단순히 교원의 이익 보장이 아니라 백년대계의 올바른 교육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교권이 무너지면 교사는 물론 학생들에게도 그 피해가 돌아가고 결국 교육이 무너지며, 그렇게 되면 우리 사회의 도덕성도, 존립 기반도 함께 무너지게 될 것은 뻔한 일이다.

교사 스스로 반성할 점도 없지는 않겠지만 사회가 교권을 지켜주는 데 앞장서야 한다. 교사가 학생들의 신뢰와 존경을 받을 수 있는 가정교육과 사회교육이 이루어지고, 학교 현장에 밀착한 교육 정책이 펼쳐져야만 할 것이다. 그런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는 한 바른 학교교육은 기대하기 어렵다. 다소의 실수가 있는 경우라 해도 '선생님은 선생님'이라는 사실도 명심하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