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절집에 있던 편액.주련 이런 뜻이 있었네"

대한불교진흥원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동원해 전국 주요 사찰의 편액과 주련을 집대성하고 그 뜻과 조성연대, 글쓴 이, 글씨 평 등을 곁들인 '한국 사찰의 편액과 주련'을 펴냈다.

서예.전각가 권창륜(權昌倫), 김양동(金洋東), 여원구(呂元九), 서예가 김응현(金膺顯), 통도사 성보박물관장 범하(梵河), 동국대 역경원장 월운(月雲)스님,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장 홍윤식(洪潤植)씨 등 편찬위원과 고일지(高一指) 한국불교인문학연구원장을 비롯한 자료조사 및 집필위원이 전국 1천200여 사찰을 대상으로 3년간 조사작업을 벌여 작품을 골랐다.

상.하권 1천100쪽에 200여 사찰의 편액 2천여개와 주련 300여개를 담았고 '가람의 구조와 편액의 의미', '사찰 편액과 주련의 서예사적 고찰' 등 논문도 실었다.부록에는 필자 해설, 당우 해설, 주련 원문 풀이, 주련 출전 해설, 주련 난해어해설, 게재 사찰 색인 등을 수록했다.

사찰에서 편액의 의미를 잘 보여주는 사례는 양산 통도사의 대웅전. 뒷면을 제외한 세 방면에 각각 편액이 걸려 있다.

전면의 '금강계단(金剛戒壇)'은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오른쪽의 '적멸보궁(寂滅寶宮)'은 통도사에 주석했던 구하(九河) 스님의 글씨고 왼쪽의 '대웅전(大雄殿)'은 석봉체(石峰體)의 진수를 보여준다.

해당 전각에 모신 불보살의 중심사상을 시문으로 표현하거나 고승 법어의 한 대목을 써놓은 주련의 의미를 새겨보는 것도 의미가 깊다.

출전은 '석문의범(釋門儀範)' '화엄경(華嚴經)' '나옹집(懶翁集)' '벽암록(碧巖錄)' '전등록(傳燈錄)' 등으로 다양하며 합천 해인사 퇴설당처럼 경허(鏡虛)선사가 자작한 경우도 있다. 鄭昌龍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