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물절약' 시민운동 펼치자

22일은 유엔이 정한 세계 물의 날. 지구촌의 수자원 현주소는 물부족 현상이어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물부족 현상은 우리도 예외가 아닌 만큼 범국민적인 관심도 가져야 한다.

우리나라는 이미 지난 93년 UN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에 의해 물부족 국가군(群)에 분류된 국가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중 1인당 물 소비량이 가장 많고 2006년에 이르면 연간 4억t의 물이 모자라 리비아·모로코·폴란드와 함께 확실한 부족 국가에 포함될 것이라는 경고를 받는 처지다.

대구·경북의 처지도 마찬가지다. 오는 2011년이면 용수가 부족해 대책이 시급하다는게 한국수자원공사의 분석이다.

이같은 위기 의식의 인식과 함께 우리는 범국민적인 절약운동의 전개를 촉구한다. 흥청망청 물 귀한 줄 모르고 '물쓰 듯'하는 습성은 버릴 때다. 물 10%를 아끼면 연간 2천900억원을 절약할 수 있다는 추계이고 보면 절약은 자명하다는 생각이다.

수도꼭지나 수도관이 새는지 점검하고, 가능한 한그릇에 물을 받아 놓고 쓴다든지 빨래는 모아서 한꺼번에 세탁해야 한다. 목욕탕 샤워를 털어놓은채 양치질·면도질은 삼가해야 할일이다.

물값을 올려 절약을 유도하는 것도 한 방편이다. 우리나라 가정용 수돗물 값은 독일(1천936원), 일본(1천374원), 프랑스(1천710원) 등에 비해 아주 싸다. 지난해 우리나라 가정용 평균 물값은 t당 240원으로 생산원가의 70~74% 수준이다. 공중전화 한 통화 값이면 수돗물 1드럼을 살 수 있고 다방 커피 1잔값(2000원)이면 8~9t의 물을 살 수 있다. 이런 싼 물값은 '물을 물쓰듯' 하는 습관의 한 원인이 됐다고 본다. 따라서 '돈을 물쓰듯'에서 '물도 돈'이라는 실제 상황을 국민들에게 인식시켜야 한다. 이런 자극요인이 없으면 물절약 정책은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물값의 현실화가 바람직하다.

효과적 대책은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다. 물부족 사태를 대비해서 수자원 관리정책을 공급위주에서 수요관리 정책으로 전환할 일이다. 다목적 댐을 건설해 공급을 늘리려는 수자원 공급정책이 국민적 호응을 얻지 못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예전에는 국민들이 용수공급의 확대에 수긍했다면 이제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이나 댐건설로 파괴되는 생태계에 더 비중을 둔다는 사실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절수기기 및 중수로 설치 등의 수요관리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 노후 수도관 교체 등 종합적 관리정책도 세워야 한다. 이미 확보된 용수의 절약과 효율적 이용에 역점을 둬야 할 일이다.

모든 대책도 국민들의 호응이 없으면 구호로만 끝나는 것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