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총선 3대변수 부상

총선 후보자들의 병역과 납세 의혹에 대한 비난 여론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선관위가 내달 4일 후보자의 전과기록을 공개키로 함에 따라 파란이 예고되고 있다.정치권은 납세 등에 대한 후보자들의 해명에도 불구, 의혹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전과기록까지 공개될 경우 정치권 전체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것으로 보고 대책 마련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납세 및 병역과 전과기록 파문이 증폭될 경우 의혹을 사고 있는 후보자의 사퇴요구까지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여야 각 정당과 후보자들은 해당사항에 대한 해명자료를 준비하거나 상대 후보들의 공세에 대비하는 등 부심하고 있다.

납세 의혹이 거론되는 대상 후보들은 배우자와 직계 존·비속의 납세증명은 물론 이번 공개대상에서 제외된 종합토지세, 양도소득세 등 전체 납세액 규모를 공개하는 등 의혹을 벗어나려 애쓰고 있다.

그러나 병역 의혹 대상자의 경우 국민정서상 납득이 어렵다는 점에서 선거기간 내내 곤욕을 치를 전망이다.

한편 전과기록 공개 대상 후보들 가운데 수서·한보, 슬롯머신 등 대형비리에 연루된 인사들은 정치적 탄압이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이미 사법부의 심판과 유권자 검증을 받았다는 점을 강조한다는 방침이다.

또 '집시법'이나 '국가보안법'위반 전과가 주류인 386세대 후보는 '민주화투쟁 과정의 상처'로 규정, 정면 대응할 방침이다. 그러나 상대후보들로부터 '색깔공방'으로 변질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반면 폭력, 강·절도, 간통 등 파렴치 전과 후보의 경우 도덕적으로 용납되기 힘들다는 점에서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으며 일부 후보자들의 출마포기 사태도 예상되고 있다.

李東寬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