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제3시장 투기판 우려

제3시장이 초반부터 '투기판'이 되고 있는 데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지난달 31일 제3시장에선 기준가가 2만8천450원인 한국웹티브이가 오전 9시쯤 주당 10원에 10주가 매매됐다. 한시간 뒤인 10시쯤엔 이 회사 주식 10주가 주당 100만원에 거래됐다. 하루변동폭이 무려 10만배에 달한 것.

다른 종목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네트컴은 이날 주당 100원과 11만1천원에 각각 거래됐다. 기준가가 16만9천원인 고려정보통신은 99만원에 1주가 매매됐다. 또 30일에는 기준가 12만원인 코리아2000 이 주당 60원에 50주가 거래됐다.

왜 이같은 일이 벌어질까. 먼저 상대매매인 제3시장의 특성 때문에 주문착오 및 주문착오를 겨냥해 그물처럼 처놓은 반대주문이 우연의 일치로 맞아떨어졌다는 분석. 제3시장엔 현재가격에다 0을 하나 덧붙인 가격의 팔자 주문과 0을 하나 뺀 가격의 사자주문이 쏟아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29일엔 투자자가 실수로 주당 200원에 내놓은 한국웹티브이 주식 100주가 거래되기도 했다.

하지만 상대의 실수를 노린 '얌체주문'보단 시세조종 내지 편법증여의 의혹이 커지고 있다. 매매쌍방이 사전약속에 따라 고가의 팔자와 사자주문을 내 거래를 성사시키면 평균가격을 끌어 올릴 수 있다는 것. 또 증여세를 피하기 위해 제3시장을 통한 편법증여 때문에 이같은 일이 벌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증시관계자들은 제3시장이 스스로 장세를 형성하지 못한 채 비정상적 거래가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며 개장초 특성상 이같은 현상이 있을 수도 있지만 시장발전에 저해요인이 될 수 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李大現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