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 최고경영자 연봉 '상한가 파괴'

미국 대기업들의 CEO(최고경영자) 보수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뉴욕타임스가 100대 일반 대기업과 신경제 주도 60개 인터넷 기업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작년도 CEO 보수는 평균 1천190만달러로 전년 보다 23%나 급증했다. 여기다 지금까지 받은 스톡옵션까지 합하면 평균 7천500만 달러가 더 늘어나 천문학적 수치로 변한다.

1988년 CEO 보수가 200만 달러를 처음으로 넘어서고, 1995년에 580만 달러에 달한 것과 비교할 때, 불어나는 속도가 얼마나 무서운지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잘나가는 인터넷 기업의 CEO 보수와 비교하면 오히려 상대적으로 빈곤한 것. 이른바 닷컴 기업의 CEO 평균 보수는 무려 2천700만 달러. 대기업 평균치의 배를 훨씬 넘어서고, 스톡옵션 등으로 받은 재산은 평균 7억2천만 달러에 달해 대기업 CEO의 10배에 가까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일반기업과 닷컴기업 간 CEO 보수에 현격한 차가 나면서, 대기업 임원의 인터넷 전직이 줄을 잇고, 이런 우수 관리자를 놓치지 않기 위해 일반 기업들이 덩달아 보수를 올림으로써 CEO 보수가 급등한 것으로 이 신문은 분석했다. 최근엔 필리-크루셀이 ABC방송 사장직을 버리고 인터넷 기업 헬시언/웹MD에 합류했으며, ATT, 나이키, 페더럴 익스프레스, 시티그룹 등 내로라 하는 기업들이 핵심 인력을 닷컴 기업에 뺏긴 쓴 경험을 갖고있다.

그러나 스톡옵션이 모두 CEO의 부로 연결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닷컴이나 첨단기술은 스톡옵션만으로 일반 보수의 몇십∼몇백배를 챙길 수 있으나, 구경제 기업에선 주가가 낮게 형성돼 스톡옵션이 포기되는 경우까지 잦다. 인터넷 네트워크 장비 생산업체인 시스코 시스템스의 CEO 체임버스는 작년에 스톡옵션 행사로 1억2천만 달러를 챙겼으며, 아메리카 온라인의 케이스도 스톡옵션으로 1억1천500만 달러를 벌었다.

한편 빌 게이츠 MS 창업주, 베이조스 아마존닷컴(Amazon.com) 회장 등이 입성해 있는 빌리언에어 클럽에는 통신 칩 생산업체 브로드컴의 니컬러스 3세, 전자 상거래 소프트웨어 업체 비트리아 테크놀로지의 조메이 창, 인터넷 라우터 생산업체 주니퍼 네트워크의 크리엔스 등이 새로 가입하게 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