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제역 방역대책 혼선

가축 구제역과 관련, 전국에 방역총동원령이 내려진 가운데 농림부가 비상대책본부를 운영하면서 이번 사태의 최대 피해자들인 농민들로 구성된 농.축협 등을 참여시키지 않아 정부와 생산자단체간의 공조가 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농림부가 체계적인 방역활동이 필요한 시점에서 생산자단체를 배제하자 축협은 자체 예산을 편성하고 방역제를 나눠주고 있어 구제역 방역에 혼선을 빚고 있다.

또 일부 지역에서는 방역제인 생석회를 늑장 공급, 농민들의 비난이 잇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농림부는 지난달 27일 젖소수포성질병 비상대책본부를 산하 기관인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구성했다. 그러나 예년의 수해나 전염병 발생 상황에서는 농림부가 피해 현장과 밀접한 농.축협 등 생산자단체를 참여시켰다가 이번 사태에서는 이들을 제외해 버렸다는 것이다.

농.축협 관계자들은 "범정부 차원에서 농림부, 농.축협,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나서야 하는 사인인데도 정부측이 생산자단체를 제외한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며 "최근 갈등을 빚고 있는 농.축협 통합문제가 이번 사태에 정치적으로 이용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

농림부 비상대책본부에 참여하지 못한 축협은 축협 내에 비상대책본부를 구성, 3일부터 전국 27만 축산농가에 18억원을 들여 생석회, 소독약 등을 나눠주고 있다. 질병 최초 발생 지역인 경기 파주와 경북 등지에서도 축협은 자체적으로 방역활동을 벌이고 있다.

정부.축협.지자체의 방역작업이 제각각 이뤄지면서 경주 외동을 비롯한 경북지역 축산농가에는 방역제가 제때 공급되지 않아 농민들이 발을 구르고 있는 실정이다. 성주군은 4일에야 경북도 예산 1천200만원이 편성돼 생석회 1천포를 구입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농림부 비상대책본부 한 관계자는 "구제역 사태가 초동단계이기 때문에 농.축협 등 생산자단체 참여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며 "여러 단체를 동시에 참여시키면 오히려 정책 혼선을 부를 수도 있다"고 해명했다.

裵洪珞.全桂完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