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개최는 분단 이후 조성된 남북한 상호 불신과 뿌리깊은 적대감을 해소하고 화해와 협력의 새로운 시대를 열면서 한반도에 지각 변동을 몰고 올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남북한 당국이 분단 이후 첫 역사적인 남북 정상회담을 평양에서 오는 6월12일부터 14일까지 개최하기로 합의한 것은 교착상태에 빠진 남북관계의 진전에 새로운 돌파구를 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3일 총선이 끝나고 나면 본격화될 남북간의 준비접촉을 통해 구체적인 의제 등이 확정되겠지만 남북정상회담은 분단 55년사에 새로운 획을 긋고 민족통일 실현을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 지난 3월 9일 김대통령이 베를린 선언에서 밝힌 것처럼 전력, 도로 등 북한의 열악한 사회간접자본시설(SOC) 지원과 농업복구 지원 등 남북협력이 본격화되는 기회를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같은 정상회담 개최 합의는 지난 3월 17일 중국 상하이 접촉을 시작으로 베이징에서 남측 박지원 문화부장관과 북측 송호경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부위원장 사이에 이뤄졌다.
또 김 대통령의 평화공존에 대한 평소의 철학에 대해 김 국방위원장이 어떻게 대응할지 주목된다. 그러나 이날 공개된 합의문에 따르면 남북한은 지난 72년 7.4남북공동에서 천명된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의 3대원칙을 재확인하는 선에서 절충점을 찾은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함께 한반도문제 해결의 주체가 남북 당사자라는 점을 국제사회에 각인시킴으로써 한반도 냉전구조 해체를 위한 김 대통령의 포괄적 접근 방안에 한층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탈냉전의 국제질서 속에서 김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억제시키면서 한반도에 평화 공존의 바람을 불러 일으키는데 성공할 경우 국내는 물론 국제사회에서 지도력을 높이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남북관계에는 최고 지도자의 정상회담으로도 풀기 어려울만큼 복잡한 대목이 얽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정상회담의 의제를 비롯한 절차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이번달 남북한의 준비접촉에 우여곡절이 따를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 중립적인 지적이다. 하지만 이는 역사상 첫 남북정상회담에 쏟아지는 민족적 기대를 감안하면 지엽말단의 문제일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어쨌든 남북정상 회담 개최는 분단 이후 갈등과 대립, 반목으로 점철될 남북관계의 암울한 역사를 청산하고 21세기 통일의 초석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점에서 남북한은 물론 주변 강대국에 까지 커다란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