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빠르면 내주초 "1차접촉 성사"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11일 국무회의에서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철저한 준비를 내각에 지시함에 따라 관련 정부부처와 청와대가 회담 준비에 본격 착수했다.

반세기 분단 사상 처음 열리는 정상회담이 갑작스럽게 성사됨에 따라 대표단 구성, 정상회담 의제, 경협 방안, 경호 문제 등 다각적인 분야의 대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우선 주무부처인 통일부는 이번주 중 남북 준비접촉의 일시와 장소, 대표단 규모와 대표단의 급, 협의 방식 등 구체적인 실무 준비회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준비회담의 장소는 판문점이 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지만 북측과 협의를 통해 박지원(朴智元) 문화관광부 장관과 송호경(宋虎景) 북한 아.태평화위 부위원장간 만남이 이뤄진 베이징(北京) 개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1차 준비회담 시기는 정부가 이번주말께 북측에 시간.장소를 통보한다는 방침이어서 빨라야 내주 초께 열릴 전망이다.

특히 이 준비회담에서 북측은 본격적인 농사철에 대비, 시급한 비료지원을 요청할 것으로 알려져 이에 대한 대책도 마련할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정부내에서는 10만~20만t의 무상지원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외교통상부도 남북 정상회담의 각종 의제 챙기기 및 주변 4강과의 다각적인 협력 방안 마련에 착수할 예정이다.

재경부와 산업자원부, 건설교통부 등 대북 SOC 사업과 관련된 부서도 행보가 빨라질 전망이다. 우선 92년 '남북화해와 교류에 관한 부속 합의서'에서 합의했다가 유명무실화된 경제공동위원회를 가동, 각종 투자보장 협정과 자금 투입 방안 등을논의해 나간다는 것이 정부의 생각이다.

또한 민간기업들이 안심하고 북한에 투자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투자자금의 회수 보장과 이중과세 방지, 분쟁조정 절차, 청산결제 협정 등에 대한 논의가 선결돼야 한다는 점에서 북측과의 본격 논의에 앞서 남측 자체의 각종 방안 마련에 역점이 두어질 전망이다.

청와대도 황원탁(黃源卓) 외교안보수석을 팀장으로 하는 태스크포스팀이 가동될 예정이다. 이 팀에는 이기호(李起浩) 경제수석, 박준영(朴晙瑩) 공보수석과 안주섭(安周燮) 경호실장 등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통일부와의 긴밀한 협의속에 평양 방문 일정 및 대통령 경호 문제, 각종 연설자료 등을 준비하게 된다.

또한 김 대통령과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간의 단독 정상회담에도 대비해 김 위원장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분석이 필요한 만큼 외교안보 수서실 뿐 아니라 정무.경제.공보수석실 비서관들도 '북한 배우기'에 적극 나설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