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철. 총선날인 13일이 길일(吉日)로 알려지면서 투표율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나올 지경이다. 그러나 보일러나 하수도, 전기 시설 등의 문제를 뒤늦게 발견, 생고생을 하는 경우가 있다. 전세 들어갈 때도 잘 점검해야 집 주인과의 분쟁을 미리 막을 수 있다.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보자.
◇보일러=낡지는 않았나, 배관 중 새는 곳은 없나, 순환 모터는 정상인가, 온수는 잘 나오나, 방바닥은 따뜻이 데워지나, 보일러 소음은 지나치지 않나? 난방 종류(기름/가스/중앙식/지역식/개별식)는? 가능하면 난방비용까지 따져 보자.
◇상수도=수돗물 사용이 집중되는 아침·저녁 시간대의 수압은 좋은가, 샤워기 물은 잘 나오나? 겨울철에 동파될 옥외 꼭지는 없나? 연립주택 경우 요금 시비에 대비해 가구별 계량기 설치 여부 및 사용량도 봐둬야 한다.
◇누수=집 내외벽에 물이 샌 흔적은 없나? 장판을 걷어 봐 습기가 있는지, 장롱이나 벽면 구석에 곰팡이가 피었는지도 눈여겨 살필 항목. 아파트 경우 아래층 집에 들러 화장실이나 천장 부위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하수구=화장실·싱크대 배수상태는 어떤가, 악취가 나지는 않나? 어린이나 노약자가 있을 경우 위험에 대비, 화장실 바닥 타일이 미끄러운지도 살필 대상.
◇문=오래된 주택의 가장 일반적인 하자 중 하나가 문, 창, 방충·방범창의 여닫음 상태 및 잠금장치 부실이다. 특히 방과 현관 등 외부와 접한 문·창은 틈이 있거나 실리콘 마감이 부실한 경우 방습·방한 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전기시설=지은지 오래된 집이면 누전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누전은 누수가 있을 때 잘 동반되기도 하지만, 발생하면 해결하기 쉽잖다. 대부분이 220V로 바뀌었으나 오래된 아파트 등에선 옥내 배선이 그냥 110V인 경우도 있다.
◇그외=주택 개보수 업체 한 관계자는 "방바닥 중 꺼진 곳이 없는지, 천장의 몰딩이 휘거나 이음새가 부실한 것은 없는지도 살피는게 좋다"고 충고했다. 또 고층아파트일 경우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베란다 난간의 고정 상태 및 손상 여부도 꼭 확인하도록 권했다.
趙珦來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