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평양 대도강 구역 외교단지 유력

오는 6월 열리는 남북정상회담에서 서울, 평양 남북연락사무소 설치를 논의할 계획이어서 설치 시기와 장소, 규모 등이 관심을 끈다.

남북한은 지난 92년 고위급회담에서 판문점 연락사무소 설치에 합의하고 사무소를 가동해 왔으나 96년 북한의 일방적 철수 통보 이후 가동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그동안 판문점에서 운영되던 연락사무소의 가동과 더불어 북한과의 논의를 거쳐 서울, 평양 연락사무소 설치를 추진할 방침이다.

아직 최종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남북한의 중간지점인 판문점을 뛰어넘어 양측의 수도인 서울, 평양의 연락사무소 개설될 경우 이는 끊어진 남북 당국간 관계복원과 아울러 남북관계가 수교 전단계 진입을 의미해 남북관계 진전의 공식화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남북이 연락사무소 개설에 합의하면 사무소 설치 시기는 연내를 목표로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 또 설치를 위해서는 실무논의가 필요하지만 이미 92년 맺은 연락사무소 설치.운영에 관한 합의서에서 구성과 운영, 기능 등 기초적인 부분에 대한 양측의 동의가 필요하다.

만약 합의되더라도 실제 평양에 남측의 연락사무소가 생긴 다음 서울에 북측의 연락사무소가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방안이 현실적이지만 서울과 평양의 동시개설 또한 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남측 연락사무소의 설치 장소로는 평양 대동강 구역에 위치한 외교단지가 유력한 것으로 추정되고 하다. 유럽국가와 아프리카 국가의 공관이 밀집해 있을 뿐 아니라 일반 북한주민의 출입이 통제되고 있어 남측 연락사무소의 설치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