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에 투자를 할 생각이 있다면 택지개발사업지구내 단독주택지나 상업용지 등을 권할만 하다.
한국토지공사, 도시개발공사 등이 조성하는 택지지구는 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과 공공시설, 생활편의시설 등이 갖춰져 있어 실수요자나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만하다. 특히 주변 여건이 성숙되지 않은 상태에서 감정평가 등을 통해 분양가를 결정하기 때문에 땅값이 인근 지역보다 10~30% 싸다. 상업용지나 택지를 분양 받은 뒤 단지가 계획대로 조성되면 땅값이 인근 지역보다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택지지구는 주거단지로 제모습을 갖출 때까지 수 년간의 시간이 걸리는 만큼 단기 투자보다 장기적 안목을 갖고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쭓토지공사의 택지
올해 대구·경북지역에서 모두 38만4천여평을 공급한다. 1~3년간 대금을 분납할 수 있어 목돈 없이도 구입이 가능하다. 미납잔금에 대해 금융기관의 지급보증서나 보증보험증권만 제출하면 계약금만 내고도 땅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지난해 9월부터 별도 담보없이 계약금과 1회 중도금만 내면 구입대금의 절반(최고 5억원)을 농협으로부터 대출이 가능하다.
△단독주택지=주택 건축만 가능한 전용주택지와 상가겸용주택을 건축할 수 있는 일반주택지가 있다. 토공경북지사에서 현재 공급하는 대구·경북지역내 단독주택지는 일반주택지로 건물 연면적의 40%까지 슈퍼마켓, 노래방, 음식점, 학원 등 상가로 활용이 가능하다. 3층까지 지을 수 있어 6, 7가구 규모의 다가구주택을 조성하거나 15~19개의 독립된 방을 만들어 원룸임대사업도 가능하다는 것. 대구의 칠곡3지구, 동호지구와 경산의 사동, 임당지구에서 모두 1천300필지, 7만7천900평을 공급 중이다. 공급규모는 필지별로 50~70평이며 공급가(이하 평당)는 칠곡3지구 110만~140만원, 경산 사동 100만~110만원, 경산 임당 60만~80만원.
△근린생활시설용지=슈퍼마켓, 식당, 당구장, 목욕탕, 세탁소, 의원 등을 건축할 수 있다. 지난해 6월부터 유치원 등 보육시설도 입주 가능하다. 칠곡3지구, 동호지구, 경산 사동, 임당지구에서 모두 59필지, 7천평을 공급 중이다. 필지별로 70~280평 단위로 공급하며 공급가는 칠곡3지구 160만~200만원, 경산 사동 130만~220만원, 경산 임당 80만~120만원.
△상업용지=일반상가는 물론 백화점, 호텔 등 판매·숙박·위락시설까지 입주 가능하다. 면적은 100평에서 수천평까지 다양. 면적이 커 일반인들은 공동투자하는 것이 좋다. 공급가는 칠곡3지구 180만~250만원, 경산 사동 200만원, 경산 임당 100만~200만원선이다.
쭓대구도시개발공사의 택지
도개공은 대구 도심과 15분 거리에 있는 동서변지구 단독주택지를 수의계약 및 일반분양할 예정이다. 수의계약 대상은 282필지로 선착순 공급하며 오는 5월부터 52필지를 일반분양한다. 상업용지는 이달 말까지 수의계약이 가능하다. 또 개발을 완료해 분양계약과 동시에 주택 건축이 가능한 장기지구, 용산지구, 노변지구의 단독주택지 18필지도 오는 5월 일반분양할 계획이다. 동서변지구는 2000년 하반기에 택지사용이 가능하며 2002년 상반기에 소유권을 이전할 수 있다. 장기·용산·노변지구는 택지 대금을 완납하는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다. 계약금이 전체 대금의 10%, 3회에 걸쳐 중도금을 대금의 15%씩 내고 대금의 45%를 잔금으로 납부해야 한다. 분양대금의 40~70% 이내에서 연리 10.5~11%로 융자를 알선해 준다.
공급하는 택지의 규모는 단독주택지 경우 동서변 334필지, 장기 12필지, 용산 4필지, 노변 2필지로 면적은 55~70평, 가격은 85만~127만원 수준이다. 상업용지는 동서변 22필지, 범물 1필지로 면적은 90~550평, 가격은 230만~19억2천700만원이다.문의=토지공사경북지사(053-429-7720), 대구도시개발공사(053-350-0336~7). 金敎榮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