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대 총선은 과거에 비해 향응제공이나 금품공세 양상이 비교적 덜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대구.경북에서는 반 DJ정서에 힘입은 한나라당 후보들이 돈드는 선거운동을 아예 기피한 때문에 막판까지 접전이 펼쳐진 선거구 외에는 '돈선거' 시비가 덜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국적인 관심을 모은 경북 봉화.울진을 비롯 구미, 칠곡과 대구 수성갑, 남구, 달성군, 북갑 등에서는 금품공세 시비가 이어졌다. 후보간 치열한 접전이 벌어진 이들 지역에서는 한나라당 후보나 비한나라당 후보 모두 조직 가동에 적잖은 자금이 들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대구지역 11개 선거구의 평균 법정 선거비용은 1억1천27만원이고 경북지역은 1억3천268만원. "격전지역의 유력 후보들은 법정비용 제한액을 웃도는 선거자금을 썼을 것"이라는 추측은 무성하지만 선거자금 규모는 제대로 드러나지 않고 있다. 실제 선거비용 규모는 후보자와 회계책임자만 아는 비밀이다. 선거법상 법정 제한액의 0.5% 이상만 초과하면 고발되기 때문에 각 후보진영은 선거비용에 대해서 입을 닫고 있다.
'공선협'이 후보자들의 선거비용 공개운동에 나서 한나라당 134명 등 총 384명의 후보들의 서약을 받았지만 이중 10% 정도만 매일 회계자료를 공개할 정도로 선거비용 공개에 대한 거부감은 컸다.
초반부터 우세한 판세를 유지했던 지역 한나라당 후보들은 대부분 법정선거비용의 70~80% 밖에 쓰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북구을의 안택수 후보 측은 13일 "회계장부를 정산하지는 않았지만 7천만원에 못 미친다"고 주장했다. 북구을의 법정 선거비용 1억300만원의 70%에도 못미치는 액수다. 방송연설에 2천만원, 선거공보 등 홍보물 제작에 1천500만원을 썼으며 나머지는 법정 선거운동원의 일당 등에 사용했다는 것 . 달서을과 김천의 한나라당 후보도 이와 비슷한 액수를 썼다고 실토 했다. 물론 법정 선거운동 이전의 조직 관리비용이나 의정보고회 경비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경북지역 한 후보의 경우 "5억원대의 부동산을 처분하는 등 최소 10억원 이상을 쏟아부었다"는 소문이 나돌았고 혼전양상이 지속된 모 선거구에서는 "50억원 이상의 자금이 들었다"는 설이 상대 진영으로부터 흘러 나오기도 했다.
각 당이 지원한 후보별 지원금도 천차만별이다. 한나라당은 기탁금 2천만원 외에 공식적으로 지원한 자금이 없다고 밝히고 있으나 이회창 총재 측이 지역 후보들에게 개별적으로 500만원에서 5천만원 정도의 자금을 차등 지원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격전을 벌인 일부 선거구에는 특별지원금을 내려 보냈다는 소문도 있다. 민주당은 영남지역 대부분을 열세지역으로 분류, 기탁금 외에는 일체 지원금을 내려보내지 않다가 막판 선거구별로 차등화된 자금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徐明秀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