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을 노리던 여야 중진들이 4.13 총선에서 대거 낙선해 차기대선 구도에 적지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민주당의 경우 우선 이종찬(李鍾贊.종로) 전 국정원장이 지난해 언론문건 파동으로 타격을 받은데 이어 이번 총선에서 원내진입에 다시 실패함으로써 DJ 이후 차기를 도모하려던 그에게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입었다.
종로 보선에서 당선된 뒤 정치적 고향인 부산으로 내려가 영남의 차세대 주자를 꿈꾸던 노무현(盧武鉉.북.강서을) 의원도 두터운 지역벽을 넘지못하고 한나라당 허태열(許泰烈) 후보에게 덜미를 잡혔다.
반면 이인제(李仁濟.논산.금산) 선대위원장은 원내 진입에 성공함은 물론 자민련 텃밭인 대전.충청권에서 '이인제 바람'을 일으키는 데 성공함으로써 확고한 대권주자 위치를 굳히게 됐다.
개혁성향의 김근태(金槿泰.도봉갑) 의원도 재선에 성공해 차기를 도모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정대철(鄭大哲.중구) 당무위원도 원내에 진출, 당권도전을 위한 발판 마련에 성공했다.
한나라당의 경우 김덕룡(金德龍.서초을) 의원과 강재섭(姜在涉.대구서구) 의원이 4선고지 등정에 성공, 차기를 도모할 근거를 마련했다.
자민련의 경우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차기의욕을 보였던 박철언(朴哲彦.수성갑) 의원이 한나라당 김만제(金滿堤) 후보에게 밀려 대권도전이 쉽지않게 됐다.
특히 대권주자들의 집합체로 불리던 민국당은 초상집 신세를 면치못하게 됐다.
우선 이기택(李基澤.연제) 전 의원이 15대에 이어 이번에도 낙선함으로써 대권꿈을 접어야 할 처지에 놓였고, 박찬종(朴燦鍾.중.동구) 전 의원도 원내진출이 좌절됨으로써 정치역정에 최대의 위기를 맞게됐다.
이수성(李壽成.칠곡) 전 민주평통부의장도 서울법대 제자인 한나라당 이인기(李仁基) 후보에게 덜미를 잡혀 재기가 불투명해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