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4.13이후의 지역정가-리더는 누구

총선후 대구.경북 지역의 정치권을 이끌어 나갈 중진은 과연 누구인가.이번 지역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싹쓸이'를 했고 민주당 자민련 민국당 등 비(非)한나라당은 중진까지 모두 낙선해 버렸다는 점에서 적지않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지역 정치권은 당분간 한나라당 일변도로 치닫을 것으로 보이며 중진의 면면도 한나라당 안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민주당의 김중권 지도위원과 권정달 의원이나 자민련의 박철언.이정무 의원 등 중진들은 낙선으로 당분간 정치의 전면에서 물러나 앉아야 할 처지이기 때문이다.

특히 한나라당의 공천에서 이회창 총재로부터 의외의 기습을 당해 탈당, 민국당을 창당했던 김윤환 의원이 낙선함에 따라 그의 뒤를 이을 새로운 구심점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우선 선수(選數)를 기준으로 최다선인 5선의 정창화 의원, 4선의 강재섭.김일윤.김찬우.이상득 의원 등이 거론된다. 이들 외에 재선이지만 박정희 전대통령의 장녀라는 후광을 업고 있는 박근혜 의원도 가세할 수 있다.

정창화.이상득 의원의 경우 정책위의장 등을 맡아 오면서 나름대로 정치력을 발휘해 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본인들 스스로도 허주의 빈자리를 메우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 대구시 지부장을 맡고 있는 강재섭 의원도 차세대 대선 주자로 꼽힐 정도로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다선=중진'이라는 등식은 무리라는 지적이다. 지역에선 특정고 중심의 학연이 얽혀있는데다 이회창 총재의 측근이란 점까지도 정치적 영향력의 주요 잣대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은 허주(김윤환 의원)의 공백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선수에 상관없이 제각각의 행보를 취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같은 맥락에서 "지역 정치권엔 중진들밖에 없다"는 비아냥까지 들리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명실상부한 중진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다가올 전당대회를 통해 부총재직에 오르는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비한나라당의 경우 이번 총선에서 전멸함으로써 중진의 명맥을 이어가기조차 어려운 처지다.

민주당의 경우 김중권 지도위원이 영향력은 약해지겠지만 김대중 대통령의 신임을 바탕으로 여전히 지역내 여권 중진의 자리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권정달 의원과 전국구 당선자인 이만섭 고문 등도 일정의 역할을 맡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영남정권 창출론을 내건 민국당에서도 김윤환 최고위원의 경우 비록 낙선은 했지만 어지간한 다선의원보다 정치권 영향력이 크다는 점에서 차기 대선과 관련, 어떤 식으로든 영향력을 행사해 나갈 것이란 관측이다.

때문에 이들이 곧바로 정치권에서 퇴장할 것이라는 전망은 거의 없다. 특히 2년여 뒤로 다가온 대선 정국에서 다시 한번 주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