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회사의 무성의때문인가, 소비자 권익 향상의 증거인가' 최근 자동차 결함시정조치(리콜)가 부쩍 늘고 있다. 지난 1996년 현대자동차 엘란트라에 대한 공식적인 국내 첫 리콜이 실시된 이래 한 해 한두건에 불과하던 리콜이 지난해부터 거의 한두달에 한 번씩 이뤄질 정도.
이달만 해도 지난 14일 건설교통부가 현대의 신차 베르나에 장착된 와이퍼 모터의 연결부위 덮개고무가 안쪽으로 말려들어가는 현상을 발견, 리콜을 조치했다. 덮개고무가 말려들어갈 경우 와이퍼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비오는 날 사고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리콜 대상은 올해 1월15일 이전에 생산된 총 1만3천152대.
역시 현대에서 만든 트라제 XG도 점화코일이 불량한 것으로 확인돼 3월13일 이전에 생산된 1만1천559대에 대해 새 부품으로 교체해주기로 했다.
지난해부터 실시된 리콜 현황을 보면 리콜대상차량이 가장 많은 회사는 국내 판매 1위를 고수하고 있는 현대자동차.
그중에서도 지난해 출시된 트라제XG는 이제까지 좌석 등받이 고정장치 결함, 주차브레이크 결함 등으로 세차례나 리콜명령을 받았다. 사이버 공간상에서 트라제XG의 결함을 지적하고 시정을 요구하는 '현대와 싸우는 소비자 모임-안티트라제(www.antihyundai.pe.kr)' 사이트까지 생길 정도.
소비자들과 업계 관계자들은 리콜 급증의 원인을 IMF이후 자동차업계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제품부실에서 찾고 있다.
그러나 이를 부정적으로만 볼 수 없다는 것이 소비자운동 관계자들의 견해.
과거에도 결함이 있었지만 덮어뒀을 뿐이며 오히려 결함을 공개하고 무상 수리해주는 공개리콜을 실시, 그만큼 소비자 권익이 향상됐다는 증거라는 것.
앞으로 자동차 리콜은 정부의 '무한책임 리콜제' 실시 방침에 따라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金嘉瑩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