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입 '또 바꾸나'

현재 고교 2학년부터 적용되는 2002학년도 새 대입제도가 지난 98년말 시행안이 나온 이후 수능시험 반영방법, 모집방법 등 세부방안이 걸핏하면 바뀌어 수험생과 교사, 학부모들의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게다가 '특기·적성만으로 대학에 갈 수 있다'는 당초 골자가 갈수록 현실성을 잃으면서 '결국은 수능성적이 당락을 좌우한다'는 생각이 번져 입시 과열, 사교육비 증가 등 기존 제도의 부작용이 심화되고 있다.

교육부는 19일 2002학년도부터 수험생들의 수능성적을 발표할 때 총점과 백분위점수를 제공하지 않는 대신 이를 9등급으로 나눠 수험생이 속한 등급만 표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입시 관계자들은 "2002학년도 대입제도 시안이 나온 이후 수능시험 반영방법이 수차례나 흔들리고 모집시기나 방법 등이 확정되지 않은 채 수시로, 대학별로 발표돼 혼란만 커진다"며 입시제도의 조속한 확정을 요구하고 있다.

실제 교육부의 당초 골자는 무시험 전형에 가까웠으나 지난해 수능시험을 최저자격기준으로 활용하는 쪽으로 바뀌었고 서울대가 계열별로 수능 영역별 반영방침을 밝힌 데 이어 등급제 방침이 발표돼 갈피를 잡을 수 없다는 것.

또 각 대학이 2002학년도 전형안을 이달말까지 교육부에 보고할 예정이지만 아직 전형방법을 내놓은 곳이 하나도 없는데다 내년에 어떻게 바뀔지 몰라 수험생과 학부모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정책이 일관성을 잃으면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현재 고교 2학년들은 대부분 지난해 새 대입제도를 '무시험 전형'으로 여기고 학업을 소홀히 했다가 "공부 외에는 대학진학 방법이 없다"는 위기감을 느끼고 올들어 학원수강, 과외 등에 열을 올리고 있다. 게다가 특기·적성 강조로 영어, 컴퓨터 등 "하나만 잘 해도 대학에 갈 수 있다"는 생각에 사교육비지출이 더 늘어나는 등 '조변석개'하는 입시제도 때문에 수험생 부담만 커진다는 반응이다.

일신학원 윤일현 진학실장은 "구체적인 안이 나올수록 성적이 잣대가 될 수밖에 없다는 상황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학생들도 내신관리와 수능준비에 철저히 하는 것만이 낭패를 보지 않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金在璥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