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사내는 어데서 왔느냐 저 사내는 어데서 왔느냐…' 알 듯 모를 듯한 시구, 다의적 해석이 가능한 모호성. 이상(李箱) 시(時)의 특징이다. 그는 '나는 나의 문자들을 가둬버렸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일탈을 추구한 그에 경도된 젊은 작가 이상선(31)씨는 이상과 정서적인 공감대를 갖고 있는 듯 하다.
22일부터 30일까지 공산갤러리(053-984-0289) 기획전으로 열리고 있는 그의 전시회는 이상을 텍스트로 성적 욕망과 소외를 통한 삶의 부조화를 표현하고 있다. '데드 마스크'에는 연인과 더불어 춤을 추면서 죽음의 이미지를 내비치는 한편 보색 대비로 더 두드러져 보이는 붉은 색면과 관음증을 상징하는 문과 통로 등이 묘사돼 있다.
평면작품 외에 '나는 장난감 신부와 결혼한다'라는 제목의 평면설치 작업도 선보인다·아파트의 형상을 재현, 각 방에 여체의 단면을 그려 넣은 작은 패널을 설치하고 좌우로 남녀의 실루엣을 배치함과 동시에 이 부분을 칼로 도려내 패널에 생긴 구멍과 이어지게 했다. 이 작업들은 직업상 여러 남자를 공유한, 기생 금홍을 아내로 둔 이상의 처지를 떠올리게 한다.
경주 출신의 작가 이씨는 서울산업대, 독일 슈투트가르트 대학원을 나와 서울에서 활동하고있다.
金知奭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