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유동성 위기설 갈수록 증폭

수급불안으로 위축됐던 주식시장이 '현대그룹 파문'으로 결정타를 맞아 폭락사태를 빚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그룹 파문'이 어떻게 수습될지가 투자자들의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주식시장에서 급속히 파급되고 있는 현대 위기설은 무엇보다 현대투신운용에 대한 정부의 지원대책 제외 방침발표 때문. 정부가 대한, 한국투신에 공적자금 투입을 공언하고서도 현대투신에 대해서는 이같은 지원대책을 외면함에 따라 그 손실을 현대그룹이 떠안을 수밖에 없게 됐다. 현대투신의 정상화를 위해선 2조원의 자금이 투입돼야 한다는 게 증시관계자들의 분석.

현대투신의 대주주인 현대 계열사들이 막대한 부실을 감당할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제기되면서 투자자들이 현대그룹 전반에 대한 불안감을 갖게 됐다. 여기에다 현대투신운용이 참여연대로부터 펀드 운영의 비도덕성을 지적받은 데다 국세청의 세무조사, 형제간 '그룹총수 다툼'으로 인한 부정적 이미지 등 여러 악재가 겹쳐 현대그룹의 유동성 위기설이 증폭되고 있다.

투자자들이 현대투신 대주주인 현대전자를 비롯 현대 계열사들의 주식을 대거 매도함에 따라 현대자동차 현대상선 현대전자 현대증권 등 현대 계열사 주가가 폭락했다. 특히 현대투신의 1대 주주인 현대전자 경우 최근 집중적으로 사모았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손절매를 하지 않는 관행에도 불구, 손실을 감수하면서까지 보유물량을 내놓았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현대그룹 파문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야 한다는 게 증시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 외국인이 손절매할 정도로 다급하고도 심각하게 인식된 문제가 하루 이틀의 주가 폭락으로 희석됐다고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신성호 부장은 "현대파문으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됐다"며 "현대파문이 해소되기까지 보유물량을 축소하고 현금비중을 높이는 투자전략을 견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증시전문가는 종합주가지수가 650선까지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대그룹 파문은 정부와 현대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응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용근 금융감독위원장은 "현대투신에 유동성 문제가 발생한다면 시장안정 차원에서 자금을 지원하겠다"며 사태수습에 나섰다. 현대그룹의 주거래은행인 외환은행도 현대그룹의 자금사정은 지극히 정상이라고 밝혔다. 현대측도 올해 현대계열사가 현대투신에 추가로 출자할 계획은 전혀 없다며 부채비율이나 현금흐름상 타그룹에 비해 우수한 점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

李大現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