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은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총재와의 영수회담, 전직 대통령 초청 오찬에 이어 26일 3부요인을 초청,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의견수렴을 계속했다.
김 대통령은 이날 박준규(朴浚圭) 국회의장, 최종영(崔鍾泳) 대법원장, 박태준(朴泰俊) 총리와 김용준(金容俊) 헌법재판소장, 이용훈(李容勳)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청와대로 초청, 오찬을 함께 하며 이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3부 요인들은 한결같이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환영하고 성공을 기원하면서 각자의 생각들을 개진했고, 김 대통령은 이날도 박재규(朴在圭) 통일부 장관, 박지원(朴智元) 문화관광부 장관을 배석시켜 회담 성사과정과 북한의 반응, 국제사회의 반응등을 설명토록 했다.
우선 김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갖게 된 배경에 대해 "1천300년 통일 역사를 이뤄온 우리 민족의 저력과 정부의 햇볕정책, 베를린 선언에서 밝힌 제안에 대한 북한의이해 등이 어우러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최 대법원장은 "이번 회담이 반드시 성공할 것으로 확신한다"면서 "정상회담 후 남북관계에서 여러가지 법률적으로 연구, 검토할 것이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박 의장은 "과거 미국의 찰스 카트먼 대북 특사와 탕자쉬안(唐家璇) 중국 외교부장 등이 대북 관계는 첫째도 참는 것이요, 둘째도 참는 것이라고 말했듯이 인내심을 갖고 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한번에 성공할 수는 없으니 꾸준히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김 헌법재판소장은 "민족사적으로 볼때 장차 통일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법률적으로 연구될 사항들이 많기 때문에 그런 작업을 하겠다"고 의욕을 보였다.
이 선관위원장은 "만남 자체가 중요하다"면서 "이번 정상회담은 정치적인 측면이 아니고 경제협력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한 만큼 우선 가능한 것부터 해야 한다"고 말해 참석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박 총리는 "정상회담은 국제적으로도 여러가지 변화를 가져올 사건"이라고 평가하고 "거국적인 뒷받침과 정상회담후 분출할 수 있는 요구에 대한 사회질서 유지, 북한의 인프라 해결을 위한 국제기구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