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등 취약한 나라들을 위기에 빠뜨렸던 세계 양대 헤지펀드가 종말을 고했다. 두 축 중 하나였던 '타이거 매니지먼트'의 줄리안 로버트슨(67)이 6개 헤지펀드 폐쇄를 한달여 전 발표한데 이어, '대부'로 군림해온 조지 소로스(69)도 28일(현지시간) 자신의 '퀀텀펀드'의 투기적 운용을 종료했다고 발표했다.
소로스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퀀텀펀드 개편을 발표하면서 "우리는 한 시대를 마감하고 있으며 헤지펀드의 대형 투기 시대는 끝났다"고 밝혔다. 그는 85억 달러 규모의 이 펀드를 위험이나 투기적 요소가 적은 쪽으로 운용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면서, "주가가 고평가돼 있고 급등락이 심해 주식 투자 비중을 줄여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대형 헤지펀드는 시장의 집중적 감시를 받아 성공적으로 자산을 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더이상 자산관리의 최선책이 아니라는 점을 깨닫게 됐다"고 설명했다.
작년 말 103억6천만 달러에 달했던 퀀텀펀드의 자산은 최근 첨단기술주 폭락세로 이달 중순 현재 82억5천만 달러로 21.69% 줄어 들었다. 소로스의 핵심 측근으로 1989년부터 이 펀드를 운영해 온 드러켄 밀러(46)는 손실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