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해 복구공사 하천 생태계 파괴

경남도가 수해복구 및 수해방지공사를 시행하면서 생태기능을 무시한 채 사업을 추진해 환경단체들로부터 반발을 사고 있다.

경남도와 환경단체들에 따르면 도는 총사업비 667억원으로 작년 8월부터 도내 402개 준용하천에 대한 수해복구 및 수해방지공사를 시행하면서 예산부족을 이유로 경사면이나 계단식 설치를 감안않는 등 단순 치수목적에만 치우친 공사를 강행해 수중생물이나 수변생물에 대한 생태환경 보호를 외면, 환경단체로부터 생태계보호에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공사기간이 수중생물들이 산란을 시작하는 초봄에 집중돼있는 등 생태환경 보호를 고려치 않아 수중 및 수변생물들의 멸종을 초래할 우려마저 낳고 있다는 것이다.

환경단체들은 도가 작은 예산을 아끼려다 하천생태계가 파괴되면 복구에 오히려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근시안적인 행정을 추진하고 있다며 획일적인 공사의 전면중단과 자연형 하천조성을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도관계자는 "예산이 부족해 현재는 치수목적 위주의 공사를 하고 있지만 환경기능도 뒤따를 것으로 보고 있다"며 "생태환경을 고려한 설계로 시공할 경우 당장 4~5배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예산확보의 어려움을 설명했다. 姜元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