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선거사범 처리싸고 신경전

민주당과 한나라당은 2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양당 3역회의를 열고 여야영수회담 후속조치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 '대화와 상생의 정치'를 위한 물꼬를 텄다.

첫 대좌인 이날 모임에는 민주당 김옥두(金玉斗) 사무총장, 박상천(朴相千) 원내총무, 이해찬(李海瓚) 정책위의장과 한나라당 하순봉(河舜鳳) 사무총장, 이부영(李富榮) 원내총무, 정창화(鄭昌和) 정책위의장 이외에 민주당 정동영(鄭東泳), 한나라당 권철현(權哲賢) 대변인이 동석, 사실상 양당 4역회의로 진행됐다.

원형테이블에 마주앉은 양당 4역들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과 이회창(李會昌)총재의 영수회담을 계기로 모처럼 조성된 대화국면을 확대재생산해 나가려는듯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회의를 시작했다.

한나라당 정창화 의장이 "모처럼 두 당 영수가 마련한 화해무드가 잘 되도록 하자"고 운을 떼자 민주당 이해찬 의장은 "정책쪽은 쉽게 합의할 수 있을 것 같다. 쉽게 합의할 수 있는 것부터 빨리 처리하고 조정할 것은 조정하자"고 화답했다.

이어 양당 대표들은 취재진을 물리고 1시간 20여분동안 영수회담 후속조치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에 들어가 몇가지 원칙적 합의를 이끌어내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구체적이고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는 합의에 실패, '기싸움'만 벌였다.

양당 대표들은 △대화와 상생의 원칙 재확인 △양당 정책협의회 구성 및 가동△정개특위 및 미래전략위 16대 원구성후 가동 등 3가지에 대해서는 쉽게 합의에 이르렀다.

특히 양당의 총선공약 이행문제를 함께 논의하기 위해 구성한 양당 정책협의회는 당장 3일부터 즉각 가동키로 했다.

하지만 선거사범 처리문제에서부터 신경전은 구체화됐다.

한나라당 하 총장이 "검찰이 야당 당선자에 대해서는 '번개수사'를 하고 여당당선자에 대해서는 '거북 수사'를 하고 있다"고 지적하자 민주당은 "수사에 대해서는 당에서 관여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결국 양당은 엄정하고 공명정대한 수사를 검찰에 촉구하는 선에서 합의했다.

16대 원구성과 관련, 가장 핵심인 의장선출 문제에 대해서는 양당이 끝까지 양보하지 않아 논의가 겉돌았다.

민주당 박 총무가 "상생의 정치 합의 정신에 따라 국정의 안정운영을 위해 의장을 집권당이 맡도록 양해해 달라"고 주장하자 한나라당은 "다수당이 의장을 맡아야하며, 합의가 안될 경우 경선을 해서 뽑아야 한다"고 맞섰다.

또 민주당은 내달 열리는 남북정상회담 등을 거론, 국회차원의 지원을 위해 집권당에서 의장이 나와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으나 한나라당은 '3권분립원칙'을 내세워 반대했다.

이 과정에서 여야는 지난 13대 여소야대 구도 당시 집권당이자 원내1당인 민정당에서 국회의장을 맡은 데 대해 '아전인수식'으로 해석하며 논란을 벌였다.

양당은 또 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 정개특위 및 미래전략특위 위원장 배분 및구성원칙 등에 대해서는 양당의 이견을 감안, 본격 논의하지 않았다.

다만 여야는 필요할 경우 3역회의를 수시로 개최키로 합의, 양당간 대화채널을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가기로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