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남북 '최종합의서'무산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4차준비접촉도 양측의 이해관계 때문에 무산돼 이제는 5차 접촉을 기다려야 할 형편이다. 이날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열린 접촉은 당초 우리 측의 대북 비료지원 발표로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됐었다. 그러나 이날 준비접촉 역시 남북대표가 단독회담을 두 차례나 갖고 정회를 다섯 차례나 거듭했지만 합의안 도출에는 실패했다.

이날 합의무산 이유는 일단 일부 쟁점에 대한 이견 때문이다. 우리 측 양영식 수석대표는 "양측은 이날 접촉에서 대부분의 사안에 대해 의견일치에 도달했지만 취재기자 규모와 의제의 표현 등 2개 사안에 대해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고 말했다. 즉 16개 항중 대표단 왕래 수단과 방법, 선발대 파견, 편의제공, 신변안전보장, 의전.통신.경호 및 보도분야 실무접촉 등 14개 항에는 합의했다는 것이다.

취재진 규모의 경우 북측이 대표적으로 문제삼은 조항이다. 북측은 우리 측 요구인 80선을 40명으로 최소화해 줄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특정언론사에 대해서는 노골적인 반감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그동안 북측은 우리 측 언론에 대한 반감을 공공연히 표시했었다. 첫 금강산 관광 당시 일부 언론사 취재진은 입북을 거부당한 예까지 있다. 이번 준비접촉에서 취재진에 대한 거부감을 표시한 것 역시 이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또 의제표현 방식의 문제도 미결사안이다. 양측이 해석상의 차이를 감안, 포괄적인 의제접근이라는 대안을 내놓고 있지만 이 역시 경우에 따라 최대현안이 될 가능성도 있다. 해석상의 차이를 좁히지 못할 경우 자칫 난관에 봉착할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와 관련 북측은 '7.4 남북공동성명을 바탕으로' 또는 '베이징 4.8합의서 정신에 입각하여' 등을 주장하자 남측은 '남북교류와 협력정신' 등을 고수하고 있다는 것.

그러나 이같은 쟁점에도 불구하고 우리 측은 향후 접촉결과를 낙관하는 분위기다. 회담관계자들은 "대부분의 사안이 합의에 도달한 만큼 곧 완전합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어차피 정상회담 일정까지 잡아 놓았기 때문에 실무절차 문제로 시간을 허비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그러나 이날 접촉에서 5차 접촉 일정도 잡지 못한 채 헤어져 회담전망이 그리 밝은 것은 아니다. 때문에 정부당국은 일정조정을 위해 다각도의 방안을 모색하는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李相坤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