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한국통신, 두루넷, 하나로, 드림라인, 데이콤, 온세통신, 한국 멀티넷 등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이 치열한 회원 확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연말까지 200만 가입자가 예상되는 대형 시장이 될 것으로 보여 업체간 과당경쟁이 속속 벌어지고 있다. 몇개월 전까지 10만원대의 가입설치비를 낸 초기 가입자들은 요즘 '무료 가입설치, 무료 사용' 등을 보면 후회하는 마음이 생길 수도 있다.
그러나 업체간 과당 경쟁은 본사에서 인센티브를 받는 영업점의 과당 광고로 이어지고 이는 곧 소비자 피해로 이어진다.
◎피해 유형
김모(대구시 수성구)씨는 길을 가다가 인터넷 서비스 업체의 노상 판촉점에서 '설치비 무료'라는 이야기를 듣고 가입했으나 한달 뒤 고지서에 설치비가 청구됐다. 본사에 항의했으나 본사는 이런 판촉행사와 무관하다는 이야기만 들었다.
한모(대학생)씨는 인터넷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특정기간 가입자에 한해 헤드셋을 준다는 광고를 보고 가입했다가 경품이 제공되지 않았다. 강모(대구시 달성군 화원읍)씨는 4월 초 동네 유선 방송사를 통해 인터넷에 가입했으나 한달이 되도록 통신이 이뤄지지 않았다. 수리를 몇차례 요구했지만 계속 미루기만 했다. 이모(고교생)군은 학교 앞에 무료 통신회원을 모집한다는 외판원의 말을 듣고 주소를 가르쳐 줬는데 한달 뒤 통신이용료를 내라는 고지서를 받았다. 회사에 전화해 강제 가입문제를 항의했으나 위약금을 물어야 한다고 했다.
◎해결 방안
인터넷 업체는 자체 인력이 부족한 점 때문에 일정한 배당금을 주고 영업점을 통해 회원을 모집한다. 영업점의 허위 과장 광고에 속아 무료 가입 또는 경품 제공을 약속받은 가입자는 본사에 항의해도 보상을 받기 어렵다. 본사와 관계없는 영업점 자체의 행사라는 게 이유다.
이런 경우를 막기 위해서 가입자는 무료행사의 주체가 누구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신문에 공고되는 본사 행사를 확인한 뒤 가입하면 안전하다. 영업점 무료행사는 본사 또는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어 무료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전화로 가입할 경우에는 상담원의 이름을 기록해 두면 문제가 생겨도 해결이 쉽다.
영업점과 계약하더라도 가입 당시의 팸플릿, 계약서 등을 보관하고 있으면 된다. 경품제공을 비롯한 각종 특약을 하는 경우에는 계약서 작성시 구체적인 내용을 서면으로 남겨놓는 것이 좋다. 미성년자를 상대로 한 무료가입 유혹은 부모 동의를 받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언제라도 무료 해지할 수 있다.
인터넷 가입 관련 문제는 개인적으로 해결하기보다 소비자연맹을 비롯한 소비자단체를 통하면 해결이 수월하다. 문의 (053)745-9107.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