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 금리 곧 0.25~0.5%P 인상

미국이 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더라도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성장 둔화로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이 감소해 무역수지 흑자폭이 줄어드는 등 실물경제에 나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15일 한국은행과 금융계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16일(현지시간) 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 연방기금 금리를 0.25~0.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미국이 금리를 0.25%포인트가 아닌 0.5%포인트까지 올리더라도 이미 시장에 반영돼 큰 충격은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은은 또 미국 금리인상과 연계해 국내 금리를 올리지는 않을 방침이다.

그러나 현재 지표상 경제성장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고 하반기에는 물가상승 압력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 미리 물가를 잡기위해 한은이 선제적 조치로 금리인상을 단행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모건 스탠리는 최근 '한국경제분석'보고서에서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미국 경기둔화 가능성, 미 주가조정에 따른 한국의 주가하락 영향, 한국 수출의 예상외 둔화 등으로 경기가 과열될 가능성은 크게 낮아졌다고 주장했다.

모건 스탠리는 그러나 미 경제가 둔화될 경우 한국은 경기과열을 피할 수는 있겠지만 기업들은 수익실현을 통한 부채상환이 어렵게 돼 원가절감 및 자산매각 등 구조조정을 재개해야 하는 한편 은행은 자산의 건전성이 악화될 것이며 정부도 정책의 선택 여지가 크게 제약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