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박태준(朴泰俊) 총리가 19일 사퇴함에 따라 곧 있게될 후임총리 인선이 여권의 향후 정국운영 전략을 가늠할 시금석이라고 보고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박 총리 사표를 즉각 수리한 과정으로 볼 때 여권의 부담을 조기에 털어버린다는 수세적 의미보다는 이번 사건을 적극적이고도 공세적인 집권 후반기 정국구도 정착의 계기로 활용하겠다는 김 대통령의 의중이 더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에따라 후임총리 인선은 무엇보다도 4·13총선 결과에 따른 여소야대의 '답답한' 양당구도를 헤쳐나가기 위한 전략적 큰 틀안에서 이뤄질 것이며, 이 때문에 자민련과의 공조복원이나 정계개편 문제와 직결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한나라당의 시각이다.
이회창(李會昌) 총재의 한 핵심측근은 이날 "자민련 이한동(李漢東) 총재의 그간 동선으로 볼 때 민주당과 자민련의 공조복원은 가부의 문제가 아니라 시기의 문제에 불과하다"면서 "박 총리의경질이 그 시점을 앞당기는 영향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에따라 당내에서는 후임총리로 현재 금융시장의 불안 등을 다뤄나갈 경험있는 경제전문가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국신당 김용환(金龍煥) 집행위 의장이나 자민련 이한동 총재가 유력한 것으로 점치고 있다.
특히 김용환씨의 경우 자민련 김종필(金鍾泌) 명예총재와의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총선패배로 정치적 수세에 몰려있는 이들의 입장으로 볼 때 '관계봉합'의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것이 한나라당의 판단이다.
이 경우 여권은 단순히 자민련과의 공조복원 차원을 넘어 군소정당 및 무소속과의 거리를 좁혀 향후 정국운영상 운신의 폭을 더욱 넓힐 수 있는 카드라고 판단하고 있을지 모른다는 얘기다.
권철현(權哲賢) 대변인이 이날 박 총리 사퇴와 관련한 논평에서 "후임총리 임명은 결코 당리당략과 정략에 의한 결정이 돼서는 안된다"면서 "인사청문회 및 국회동의 과정에서 여야가 공감할 수 있는 인물이 제청되기를 바란다"며 '견제' 의사를 표명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