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불안, 무역수지악화, 단기외채급증, 국제유가급등 등으로 제2경제위기설이 나돌고 있는 가운데 가계소비마저 흥청망청 사치.과소비로 치닫고있는 사실이 통계로 확인되고 있어 국민적 각성이 절실하다. 환란으로 졸라맸던 허리띠를 풀고싶은 심정은 십분 이해할 수 있으나 이제 겨우 외환위기를 벗어나 경제회복의 시동단계에서 자제력을 잃은 소비성향을 보이고 있는 것은 또다시 IMF 전과 같은 망국적 과소비가 도지는 놀라움을 주고 있다. 특히 경제위기 이후 빈부격차의 심화로 왜곡되고있는 분배구조는 시정되지않은채 상위 20%의 고소득층이 사회전반에 과소비.사치를 유도하고있는 풍조는 개탄스럽기 짝이 없다.
통계청 발표로는 95년 가격기준으로 올1.4분기 도시근로자 가구의 실질소득은 전년동기에 비해 4.1%의 증가에 머물렀고 외환위기 이전인 97년 1.4분기에 비해 91.8%의 수준에 불과한데도 실질소비 지출증가는 무려 11%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소비증가의 내용을 보면 자가용 구입비가 50.1%, 교양오락 용품비가 77.9%, 교양오락 서비스비가 24.9%,휴대폰 사용료 등 통신비가 38.2%, 외식비가 31.8%, 보충교육비가 25.7%나 각각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소비증가 추세는 소득수준이 제대로 회복되지않은 상황에서는 불요불급한 지출이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고 심지어 향락.사치 해외여행이 만연돼가는 요즘의 세태로는 분별력 없는 소비행태란 지적과 지탄을 받아 마땅하다.
더욱이 이번 통계에서 보인 지니계수는 0.325를 기록, 전년동기보다는 조금 낮아지긴했으나 79년이후 가장 빈부격차가 심했던 지난해 평균(0.320)보다는 오히려 불균형이 심화된 것으로 불건전한 소비행태를 촉발하는 요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자산소득, 증권 및 벤처 벼락부자 등 상위 20%의 고소득층이 외환위기 동안 잠시 움츠렸던 소비심리를 경기회복을 타고 한풀이하듯 발산하고 이에 덩달아 저소득층도 뇌동소비로 가계수지가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과소비 풍조의 재연은 6.25전쟁 이후 최대의 참사란 표현을 했을 만큼 고통스러웠던 환란이 되살아날 것같은 우려와 함께 빈부격차의 심화속에서 각종범죄와 사회불안의 배경이 된다는 점에서 심각하게 경계해야할 일이다. 특히 과소비는 올들어 경제불안의 주요인으로 떠오르고있는 무역수지의 악화와 단기외채증가에 악영향을 주고있다. 환란의 고통을 되풀이하지않으려면 가계를 비롯한 모든 경제주체들은 무엇보다 과소비를 배격해야한다. 특히 부유층의 무분별한 소비는 시급히 자제되어야할 것이다. 정부도 과소비 방지대책에 나서야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