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닭전염병 예방대책 문제점

정부의 가축 전염병 근절 및 예방 대책이 소.돼지에만 집중, 양계는 자율방역에 의존하는 바람에 닭 뉴캐슬병 등 닭 전염병 확산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계란.육계값이 폭락, 양계농가의 경제난에 예방접종과 축사 위생관리 부실로 이어져 전염병 확산이 이미 예견된 상황. 그런데도 당국은 뒤늦게 공동방역을 실시하는 등 '소잃고 외양간 고치기'식 대처를 하고 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정부는 지난 98년 '돼지 콜레라 및 닭 뉴캐슬병 예방접종 실시 명령'을 제정, 돼지 콜레라 근절을 위해 마리당 2회까지 백신접종을 실시하는 등 총력을 기울여 올하반기에 청정지역 선포를 할 예정이다.

그러나 OIE(국제수역사무국)에 A급 질병으로 등재되어 있고, 감염시 90% 이상 죽게되는 닭 뉴캐슬병을 포함한 닭 전염병은 상대적으로 방역대책이 소홀하다.

닭의 경우 정부에서는 뉴캐슬병 예방을 위해서 병아리 부화장에서만 단 1회 예방접종을 위한 예산을 지원하고 있을 뿐, 분양후에는 농가자율에 맡기고 있다.

그러나 상당수 농가가 접종비에 부담을 느껴 접종을 소홀히 하는데다 특히 입식후 40∼50일내 출하하는 육계 사육농가의 경우 이 기간만 지나면 된다는 인식까지 팽배, 접종에 태무심한 실정.

현행 가축 전염병 예방체계 미흡도 전염병 확산의 한 요인. 닭 뉴캐슬병 등에 대한 미예방접종 농가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토록 돼 있지만 단 한 건도 없어 사문화된 규정이란 지적이다.

또한 지난 1월부터 전국 곳곳에서 닭 뉴캐슬병이 발병했으나 방역당국은 지난 13일자로 주의보를 발령, 뒤늦게 시.군별 공동방역을 실시하는 뒷북 행정을 펴는가 하면, 지금까지 정확한 감염경로 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최근 봉화에서 예방접종을 4차례나 한 닭에서도 뉴캐슬병이 발병, 방역당국이 혼비백산하고 있다.

봉화군 축산 관계자는 "계란값 폭락 등으로 도산위기에 처한 양계농가들이 스스로 전염병 예방과 확산방지책을 마련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만큼 정부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봉화.金振萬기자 fact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