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종목은 상장법인 또는 등록법인 주식이 최종부도, 당좌거래중지, 영업중지, 자본전액잠식 등 상장 또는 등록 폐지 기준에 해당되지만 일정기간 상장이나 등록폐지가 유예된 종목을 일컫는다. 투자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투자에 참고하도록 별도로 관리해 거래시킨다.
관리종목은 대부분 경우 부도발생기업으로 상장폐지 유예기간 동안에 그 사유가 해소되지 못하면 상장폐지가 되기 때문에 주가가 매우 낮다. 그만큼 주식투자위험이 크지만 상장폐지기준을 해소해서 관리종목에서 벗어나면 주가가 큰 폭으로 오르는 경우도 있다. 관리종목은 상승기 막바지에 오르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주가 상승기 동안 주가 상승률이 낮고 절대주가가 낮아 투기적 매수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관리종목은 상장폐지가 되면 더 이상 증권시장에서 거래를 할 수 없으므로 30일간의 정리매매기간을 두거나 제3시장에 등록하여 환금의 기회를 준다.▲거래소 상장종목의 관리종목에 대한 제재=관리종목 지정 사실을 전산 및 시장지에 공표, 대용증권지정 제외, 위탁 증거금률 100%로 현금범위 내에서만 매수가능, 주식매매가 30분마다 동시호가 형태로만 이뤄짐. 신용매수 불가
김봉환(동원증권 대구지점 금융종합팀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