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북 전력사업 시나리오

남북 경협사업의 선결과제는 북한의 전력부족 해결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북측이 우리측에 전력지원을 공식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정부도 재정경제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실무위원회를 구성하고 분야별로 전담 부처를 지정, 경협을 효율적으로 추진키로 해 이르면 이번 주에 정부차원의 대북 전력사업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전력사정

통일부 자료에 따르면 97년 현재 북한의 전력시설 용량은 수력설비 443만㎾, 화력 300만㎾ 등 총용량이 750만㎾로 추정된다. 이중 폐기해야 할 설비가 109만㎾이고 보수해야할 설비가 430만 ㎾에 달해 실제 발전용량은 200만㎾에 불과하다. 북한 인구를 대략 2천700만명으로 추산할때 1인당 0.3㎾ 정도다.

▲대북 전력사업 시나리오

한전은 지난 3월 대북 전력사업에 대비, '전력협력준비팀'을 발족시켰다.

대북 전력사업은 크게 연료 유상지원, 노후 발전소 성능개선, 송배전시설 건설후 남측 여유전력 송전, 발전소 건설 등으로 나눌수 있다.

이중 연료 유상지원사업은 국내에서 연간 1천만t의 무연탄이 재고로 남는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가장 크다. 무연탄 100만t이 약 20만㎾의 발전소를 1년간 가동할 수 있다고 볼때 1천만t이면 200만㎾ 설비를 가동할 수 있다. 이 사업은 철도.도로.항만 등 사회간접시설 확충사업과 연계돼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노후 발전소 성능개선사업은 연료 및 재원부족을 보완해 줄 근본적인 대책이라는 점에서 북한측이 우선적으로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은 "북한내 주요 발전소의 개.보수 작업을 통해 운영효율만 높이면 발전전력손실을 상당히 줄일수 있다"고 지적했다.

발전소 건설도 생각해 볼수 있다.

북한이 원하는 지역에 10만~20만㎾급 화력발전소를 건설하고 연료는 우리측에서 제공하는 무연탄을 이용하면 짧은 기간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비용회수가 문제다.

화력발전소의 경우 소형이라고 하더라도 건설에 수천억원이 소요되기 때문에 자금압박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가 추진중인 서해안공단 배후지역에 화력발전소를 건설, 공단에 전력을 제공해 비용을 회수하고 남는 전력은 공단이외 지역에 공급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