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離散 상봉 '100명' 너무적다

8·15 남북이산가족 방문단이 100명 수준으로 제한된 것은 기대에 비해 지나치게 미흡하다. 이미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한 사람이 14만6천명이나 되는 마당에 8·15에 겨우 100명 방문으로 범위가 축소된다는 것은 766만 이산가족의 '피 맺힌 한'을 풀어주기에는 어림없다는 느낌이다. 분단 55년동안 많은 실향민 1세대(123만명)들이 고령으로 망향의 그리움을 풀지못한 채 세상을 떠나고 있는 이 마당에 이들에게 핏줄끼리 상봉케 하는 것은 체제와 이념을 떠난 인류애(人類愛)적 차원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할 우리 민족의 숙원의 하나라 할만하다.

그럼에도 8·15방문단이 고작 100명 수준이라니 모처럼의 '6·15남북 공동선언'의 감격이 빛이 바래지는것 같다. 지난 85년에도 이산가족 방문이 있었지만 1회성 이벤트로 끝났던 것을 기억하는 우리로서는 100명 수준의 초라한(?)방문단 규모에 그때처럼 이번에도 1회성 방문으로 생색만 잔뜩 낸채 끝나버리지 않나 싶은 의구심마저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런만큼 우리는 기왕 남북이 화해의 길로 접어들기로 손 잡고 선언한 이 마당인만큼 이산가족 상봉부터 '화끈하게' 풀어나갈 것을 남북 당국에 촉구한다.

실향민들 주장대로 매달 200~300명씩 연중 가족 상봉을 계속함으로써 이들에게 재회의 기쁨을 안겨주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우리는 이와함께 앞으로 이산가족의 생사확인과 주소확인, 서신교환, 면회소 설치 문제 등을 차근 차근 풀어나가야 한다는 것을 덧붙인다.

실향민 여론조사에서도 73%이상이 생사확인, 서신교환이 가족상봉보다 선결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몇 백명의 고향 방문단 교환이나 한 두 군데 면회소 설치로 한정된 인원의 면회를 실현하는데 만족할 것이 아니라 이산가족의 생사확인 등도 함께 풀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우리는 또 이산가족 상봉에서 납북자와 국군포로의 가족 상봉도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임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본의 아니게 북한 땅에서 강제 억류당한 사람들의 생사나마 그 가족들이 확인하게끔 하는 것은 정부가 해야할 당연한 도리라는 생각이다.

어쨌든 정부는 일단 첫 시범사업으로 8·15방문단을 100명으로 하고 그 이후에 잇달아 정례적인 방문이 계속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니 이번주로 예정된 이산가족 방문단 협의에 대한 기대가 크다. 남북당국은 부디 정파의 이익을 떠나 동포애적 차원에서 이산가족 상봉의 꿈이 이뤄지도록 노력할 것을 당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