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빠른 확산과 함께 초고속 인터넷서비스및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련 소비자 피해가 크게 늘고 있다.
7일 한국소비자연맹 대구시지회가 올들어 7월까지 접수된 소비자 고발을 분석한 결과 인터넷서비스 관련은 전체 4천987건의 1.2%인 62건이었다.
소비자들의 불만은 주로 초고속인터넷서비스 업체들의 개통 지연 등 계약 불이행과 인터넷 속도, 끊김 등 품질에 대한 것이었다.
전자상거래 관련 고발은 전체의 0.3% 수준인 16건으로 지난해까지는 거의 없다가 올들어 피해를 호소하는 소비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피해 유형은 상품의 인도가 계약과 달리 늦거나 업체가 해약을 안해주는 경우가 많았으며 일부 전자상거래 인터넷 사이트는 상품을 판매한 후 사이트를 폐쇄한 경우도 있었다.
품목별로는 문화용품이 917건(18.4%)으로 가장 많은 가운데 세탁물 885건(17.7%), 운수.통신 604건(12.1%), 생활용품 459건(9.2%), 피복제품 426건(8.5%) 등의 순이었다.
또 방문판매 관련 고발은 전체의 33.8%인 1천688건이 접수된 가운데 출판물 368건(21.8%), 건강식품 353건(20.9%), 잡지 구독 192건(11.4%)에 관한 피해가 많았다. 통신판매 관련 고발은 126건으로 전체의 7.5% 수준이었다.
소비자연맹 대구시지회 관계자는 "방문.통신판매의 경우 갈수록 품목이 확대되고 판매수법도 교묘해져 상품구입에 주의해야할 것"이라며 "휴대전화 가입 등 미성년자 관련 피해도 늘고 있어 청소년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李尙憲기자 dava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