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와 우방 사태의 여파 등으로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지역 주택시장이 침체의 늪에 빠졌다.
지난 6월 우방의 위기상황이후 지역 신규 아파트 분양시장이 급냉, 지역 주택업체들이 하반기 신규 사업계획을 세워놓고도 미분양 사태를 우려해 분양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당초 지역의 화성산업, 태왕, 서한, 영남건설, 청구, 대백종건 등은 하반기 중 칠곡택지지구, 동서변택지지구, 수성구, 동구 일대의 신규 아파트를 분양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우방 사태가 터진 지난 6월말 이후 분양한 청구의 '앞산제네스' 한라주택의 '침산스카이빌'의 계약률이 기대에 훨씬 못미치는 등 우방여파가 지역의 다른 업체에까지 미쳐 사업을 포기하거나 시기를 미루고 있다.
아파트 계약자들 사이에는 계약 후 연체금을 물더라도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중도금을 체납하려는 조짐까지 있어 분양시장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안승렬 영남건설 주택영업부장은 "최근 동구 방촌동에 신규 아파트 사업 승인을 신청했으나 시장이 냉각돼 분양시기를 잡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존 아파트의 매매거래도 거의 중단됐다. 지역 부동산중개업계에 따르면 이미 지난 4월부터 아파트 전세를 제외한 매매거래 물량은 올 봄에 비해 절반 이하로 줄었고 일부 업소들은 '개점휴업' 상태다.
달서구 용산동 한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한 달에 매개거래가 5~6건 정도 이뤄져야 현상 유지가 가능한데 요즘은 1건도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
시장이 냉각되면서 IMF(국제통화관리기금)구제금융사태 이후 2년여만에 회복된 아파트 매매가도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중개업계에 따르면 지역에 따라 아파트 매매가는 올 봄보다 30평형대의 경우 300~500만원, 40평형대는 500만원 정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업체 한 임원은 "금융기관 및 기업구조조정, 증시침체 등으로 아파트 구매심리가 위축된데다 우방과 현대건설 사태까지 겹쳐 부동산 시장이 급속히 얼어붙었다"며 "정부가 신속한 구조조정을 통해 시장을 안정시키지 않으면 정상적인 업체까지 위기상황을 맞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金敎榮기자 kimk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