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어느 집을 가더라도 벽에 걸려있는 가족사진을 볼 수 있다. 가족사진은 일상적인 가정생활의 기록일 뿐 아니라 집안 내력, 혈연관계를 보여주는 증거물로 그 가치를 충분히 발휘한다.
지금 온 국민이 남북이산가족 상봉에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남과 북의 헤어진 가족이 한 장의 낡은 가족사진을 가슴에 품고 50년 단장(斷腸)의 한을 삭여온 사실을 우리는 매스컴을 통해 잘 알고 있다. 만약 한 장의 가족사진이라도 없었다면 그들이 그렇게 기나긴 세월을 참고 기다릴 수 있었을까?
가족사진은 혈연관계에 의해 시작됐다. 사진으로 가족의 모습을 남기게 된 것은 가족, 또는 개인의 업적을 기념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였으며 사회공동체로서 가족역사와 시대성이 담겨 있다. 이는 사진이 갖는 가장 대중적인 용도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여성 사진작가 살리만은 자신의 고향 펜실베니아에서 아이들의 성장과정에 따른 감정변화를 공포, 노여움, 사랑, 실망을 주제로 소년소녀기의 다양한 모습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대형 카메라로 촬영된 이 흑백사진들은 미학적 측면에서 흑백사진의 진면목을 보여주고 있으며, 아름답고 완벽하게 연출된 구도로, 아이들의 하루 일과를 숨김없이 보여주고 있다. 아이들의 표정에 찍힌 희로애락은 살리만에게 있어서 창조의 원천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프랑스에서 실시한 한 사회학적 조사에 의하면 대부분의 가정이 카메라 한 대정도는 갖고 있는데 이중 한 대 이상의 카메라를 가진 가정의 비율은 자녀가 없는 가정에 비해 자녀가 있는 가정이 적어도 두 배나 되었다고 한다.
자녀의 사진을 찍지 않는다는 것, 특히 어릴 때 자녀모습을 사진으로 찍어주지 않았다는 것은 부모의 무관심으로 밖에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어떤 활동장면이 찍혀있느냐가 문제가 아니라 사진에 찍힌 정신적인 측면을 소중히 간직하고자 하는 것일게다. 사진으로 그리던 남북의 이산가족들이 상봉하는 모습을 보면서 가족사진의 소중함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