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추석 자금난 대책 급하다

추석을 앞두고 기업들이 극심한 자금난을 겪고있어 일부 기업들은 이번 추석이 사활의 고비가 될 전망이다. 자금난에 빠진 많은 기업들은 정부가 특단의 대책을 세우지않는 한 현재로선 뾰족한 방법도 없다. 이같은 현상은 4대그룹과 일부 견실한 업체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들이 공통으로 당면하고 있으며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수도권보다 지방업체들이 더 심각하다는 것이다. 가뜩이나 실물경제에 심상찮은 기류가 감지되는 시기에 자금난마저 가중되면 경제 전반에 침체현상을 몰고올 가능성이 높아 여간 걱정스러운 일이 아니다.

올추석에 자금난이 유난히 심각한 것은 금융권에 돈이 없어서가 아니다. 자금시장을 경색으로 몰아갔던 현대사태도 일단 수습의 가닥을 잡아 이전보다는 시장환경이 호전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그동안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되는 바람에 임직원 상여금, 협력업체물품대금 등 기업의 자금수요가 크게 늘어난 반면 직접금융시장의 경색이 여전하고 2차 구조조정을 의식한 금융권이 대출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현금수요만도 사상최대규모인 5조~6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이같은 자금난은 특별한 대책이 없는한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진단해 자칫 금융경색이 실물경제를 심각하게 압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금융경색은 은행에 몰린 돈을 기업으로 돌게해야 풀릴 수 있다. 그러나 은행들은 최근들어 오히려 기업에대한 대출취급기준을 강화하고 있다. 당장 9월말까지 정부에 제출할 금융정상화 계획에 따라 2차구조조정의 내용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예금부분보장제 내년실시, 회사채 연말 만기집중 등의 요인마저 겹쳐 은행의 건전성에 따른 예금이동, 대출창구의 위축, 회사채만기연장 애로 등의 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보는 것이다. 이같은 전망이 맞물려 올 추석은 은행에 돈을 두고도 기업이 자금난을 겪을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특히 지방중소기업의 경우는 지역의 금융시스템이 경제위기이후 전반적으로 약화된데다 기업환경마저 악화됨으로써 더큰 곤경에 처해있는 상황이다. 은행의 대출창구가 좁아지면서 사채시장도 금리가 엄청나게 오르고 그나마 구하기도 어려운 지경에 이르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지방기업은 경제위기이후 또다시 올추석을 고비로 숱하게 무너지는 사태를 맞을 가능성이 크다.

정부의 대책도 은행에 무리한 자금대출을 독려할 형편이 아닌 입장에서 어려움이 많을 것이다. 기업의 자금조달 패턴도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자금난 해소 방법도 한계가 있다. 그러나 정부는 적절한 자금난대책을 시급히 내놓아야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