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파기만 하고 뒷정리 제대로 않는 도시가스

대구 도심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는 도시가스 관로 매설공사의 뒷처리가 대부분 부실하기 짝이 없어 도로가 꺼지거나 균열이 발생, 통행 불편과 대형사고 위험을 안겨주고 있다.

특히 지속적 관리감독을 통해 부실공사로 인한 피해 예방에 나서야 할 각 구청은 시공업체에 하자보수 요구를 형식적으로만 해 시민 안전에 무관심하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대구경실련이 최근 시내 주요 간선도로 및 이면도로의 도시가스관 매설표시 장소 57개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도로 침하, 균열, 요철, 포장부실 등 부실공사가 이뤄진 곳은 조사대상의 절반 가까운 27곳이나 됐다.

대구 북구 북부경찰서 앞 도로는 도시가스 관로 매설공사 이후 균열이 수백미터에 걸쳐 여러 줄로 일어나 보기에도 아찔할 정도다.

북구 검단파출소 앞 도로에도 폭 40~50cm, 길이 60m 정도의 침하와 균열이 발생했으며 동구 동촌유원지 입구에도 폭 60cm 정도의 침하가 관찰됐다.

각 구청별 부실공사로 지적된 구간은 중구가 8개 조사대상 중 5곳이었으며 북구 12곳 중 6곳, 동구 18곳 중 6곳, 달서구는 3곳 중 2곳 등이었다.

또 현재 시공중인 공사현장에서도 모래.물다짐 등이 시방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는데다 되메우기 작업도 양질의 토사 대신 잡토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원인자 복구'를 조건으로 도로 굴착허가를 내준 각 구청이 시공업체인 대구도시가스(주)에 최근 2년간 하자보수를 요구한 건은 거의 없었다.

게다가 중.서.남.북.달서구는 공문으로 하자보수를 요구한 사례는 단 한 차례도 없었으며 불편을 겪은 주민이 신고할 경우 전화로만 긴급복구를 의뢰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7월부터 올해 3월까지 '원인자 복구'를 조건으로 각 구청이 도시가스 관로 매설공사를 위해 내준 도로굴착 허가건은 모두 592건 58.6km에 이다.

대구경실련 관계자는 "부실공사 구간에 대해서는 전면 조사를 벌여 재시공 또는 재포장을 해야 할 것"이라며 "각 구청 등 지도감독기관도 시민안전을 위해서 실질적인 감독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李尙憲기자 dava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