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가 멀다하고 대구시내 도로를 파헤치고 있는 도시가스 관로 매설공사의 뒷처리가 부실하기 짝이 없어 도로가 꺼지거나 균열이 발생하기 일쑤여서, 시민들에게 통행 짜증과 대형사고 위험을 안겨주고 있다.
특히 도로 굴착공사후 원상복구를 관리감독해야 할 각 구청은 시공업체에 하자보수 요구조차 형식적으로 하고 있어 시민 안전에 무관심하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대구경실련이 최근 시내 주요 간선도로 및 이면도로의 도시가스관 매설표시 장소 57개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도로 침하, 균열, 요철, 포장부실 등 부실공사가 나타난 곳은 조사대상의 절반 가까운 27곳에 이르렀다.
대구 북구 북부경찰서 앞 도로는 도시가스 관로 매설공사 이후 균열이 수백m에 걸쳐 여러 줄로 발생, 주민들이 부실공사 의혹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북구 검단파출소 앞 도로는 도시가스 매설공사후 폭 40~50cm, 길이 60m 정도 푹 꺼져 차량통행 안전을 위협하고 있으며, 동구 동촌유원지 입구도 폭 60㎝ 정도의 침하가 발생했으나 방치상태다.
경실련이 조사한 구역 가운데 각 구청별로 부실공사가 나타난 곳은 중구가 8개 조사대상 중 5곳이며 북구 12곳 중 6곳, 동구 18곳 중 6곳, 달서구는 3곳 중 2곳 등이다.
이번 경실련의 조사대상은 무작위로 잡은 것이어서, 지난해 7월부터 올해 3월까지 '원인자 복구'를 조건으로 각 구청이 도시가스 매설공사로 내준 도로굴착 허가건 592건(58.6㎞)을 모두 대상으로 할 경우 대구시내 멀쩡한 도로 곳곳이 굴착 공사 이후 만신창이처럼 망가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실련은 또 현재 시공중인 공사현장에서도 모래·물 다짐작업이 시방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는데다 되메우기 작업도 양질의 토사 대신 잡토로 이뤄지고 있는 등 여전히 부실하게 뒷처리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런데도 '원인자 복구'를 조건으로 도로 굴착허가를 내준 각 구청이 시공업체인 대구도시가스(주)에 최근 2년간 하자보수를 요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게다가 중.서.남.북.달서구는 공문으로 하자보수를 요구한 사례는 단 한 차례도 없었으며 불편을 겪은 주민이 신고할 경우 전화로만 긴급복구를 의뢰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구경실련 관계자는 "부실공사 구간에 대해서는 전면 조사를 벌여 재시공 또는 재포장을 해야 할 것"이라며 "각 구청 등 지도.감독기관도 시민 안전을 위해서 실질적인 감독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李尙憲기자 dava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