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주당 박상희 딜레마

민주당 박상희 의원(전국구.사진)이 22일 금감위가 밝힌 대표적인 '부실기업주'로 꼽히면서 민주당의 도덕성 문제로까지 비화되자 민주당 지도부가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민주당은 지금까지 박 의원 문제에 대해 마땅한 대응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여론이 악화되자 당지도부는 본인의 문제라면서도 박의원의 소속상임위를 교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미주그룹회장인 박 의원은 23일 금감위가 자신을 부실기업주로 낙인찍은데 대해 이틀째 해명서를 내면서 금감위의 공개해명을 요청한다는 등 정면대응하고 있다. 그는 '자신 소유의 토지를 계열사에 부당 매각하고도 소유권 이전을 해주지 않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매각시기는 97년 12월29일로 워크아웃 신청 1년전 일"이라며 "워크아웃 기업의 도덕적 해이와는 관계가 없다"고 항변했다. 그는 이어 "소유권 이전에 따른 세부담(5억~6억원)을 감당할 능력이 없어서"라고 소유권 이전 지연 이유를 밝혔다. 박 의원의 주장대로라면 매각대금은 받고 그에 따른 세금은 안낸 것이므로 세금회피를 하고 있다는 얘기다.

곤혹스럽기는 금감위도 마찬가지다. 박 의원은 국회에서는 금감위 등을 감독하는 정무위에 소속돼 있다. 워크아웃 기업주가 기업을 감독하는 금감위를 거꾸로 감독.감시하는 꼴이다. 실제로 금감위의 워크아웃기업 조사과정에서 금감위는 박 의원으로부터 다각적인 압력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장인 그는 지난 총선직전 중기협 산하 단체장 300여명을 이끌고 민주당에 입당, 전국구 의원이 됐지만 중앙회장직을 사퇴하지 않아 물의를 빚는 등 매끄럽지못한 처신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

徐明秀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