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주 최고위원 경선

민주당의 최고위원 경선이 '대권론'으로 뜨거워지고 있다. 대권을 제기한 이인제 후보에 대해 다른 후보들이 일제히 협공을 퍼붓는 구도다.

'이번 전당대회는 차기 대권.당권과 무관하다'는 김대중 대통령의 언급에 따라 대권론은 사실상의 '금기사항'이었다. 그런데 이 후보가 지난 23일 충청권 합동연설회에서 '충청도 대통령론'을 제기하면서 미묘한 파장을 불러일으키자 한화갑.박상천 후보 등이 이 후보의 행태를 정면에서 비판하고 나서는 등 대권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당내에서는 이 후보의 대권론이 영남지역의 '이인제 불가론'을 정면에서 돌파하기 위한 승부수이자 득표전략의 일환이라고 치부하면서도 경선이 대권논란으로 쏠리는 것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이 후보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24일 제주지역 합동연설회에서도 "이번 전당대회가 2년반 뒤 우리 당이 여당의 위치에 있을 것인가, 정권을 잃고 야당의 초라한 모습으로 되돌아 갈 것인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계기"라며 거듭 대권론을 주장했다.

이에 한화갑.박상천.이협.김태식 후보 등 호남출신 후보들이 일제히 이 후보의 '대권론'을 공격했다. 박 후보는 "대통령은 이번 전당대회는 대권, 당권과 관련이 없다고 분명하게 말했다"며 이인제 후보에게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여기있는 후보들 가운데 대권 생각을 안하는 사람이 누가 있느냐"면서 "오늘을 기점으로 대권 논쟁을 그만 둘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한 후보도 "대통령의 임기가 2년반이나 남아있는데 '나 아니면 정권재창출이 안된다'고 하는 것은 예의가 아니다"면서 "당이 나에게 무엇을 해주기를 바라기 전에 내가 당을 위해 무엇을 할 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며 이 후보의 행태를 겨냥했다. 그는 또 "정권재창출이 '내가 정권을 재창출하겠다'고 말한다고 되는 것이냐"면서 "정권 재창출의 가장 빠른 길은 김대중 대통령을 성공한 대통령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협.김태식 후보도 "이번 전당대회가 대권후보를 뽑는 것이냐"며 "대권 운운하는게 바로 레임덕을 초래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徐明秀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