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송자 교육 "보유주식 사회 환원", 암여연대 "정치 제스처 해임을"

삼성전자 사외이사 재직당시 실권주 인수로 막대한 시세 차익을 얻어 도덕성 시비에 휘말린 송자 교육부 장관이 이 회사 보유주식을 모두 사회에 환원키로 했다.그러나 이 문제를 처음으로 공개한 참여연대측은 "이미 작년에 시세차익이 발생했는데 뒤늦게 그런 결정을 내린 것은 정치적 제스처"라며 "잘못을 자연스레 인정한 만큼 거듭 해임을 요구한다"고 밝혀 논란이 계속될 전망이다.

송 장관은 25일 오후 기자간담회를 갖고 "전체 보유주식 5천606주 가운데 2천주는 결식아동 급식비, 1천106주는 특수교육기관 지원금, 각 1천주씩은 연세대와 명지대의 국제교류학생 장학금, 나머지 500주는 교회 헌금으로 기부하겠다"고 말했다.송 장관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데 대해 국민들에게 죄송하다"고 사과한 뒤 "뜻밖의 큰 시세차익을 얻어 평소 이 돈을 적절한 시기에 좋은 일에 쓰겠다는 생각을 가져왔다"고 밝혔다.

송 장관은 이어 회사돈을 얻어 주식을 구입한 문제와 관련, "회사가 제공한 가지급금에 대한 이자를 세금으로 무는 등 대가를 치렀고 나중에는 은행에서 개별적으로 돈을 빌려 주식대금을 지불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부인과 두 딸의 이중국적 문제에 대해 "직업을 갖는 등 생활의 문제, 환갑이 넘은 부인, 서른이 넘는 아이들의 장성 등으로 고려할 때 어렵지 않겠느냐"면서 한국국적 변경이 사실상 불가능함을 시사했다.

참여연대는 앞서 지난 23일 "삼성전자가 98년 4월부터 99년 4월까지 실시한 4차례 유상증자 과정에서 당시 사외이사였던 송 장관이 실권주 7천주와 유상증자분 605주를 배정받은 뒤 이 중 2천주를 팔고 1주를 장내매수해 현재 5천606주를 갖고있으며22일 종가 32만3천원을 기준으로 시세차익이 16억7천만원에 달한다"면서 과거 대학총장 시절 문제가 됐던 이중국적 문제 등을 다시 제기하며 장관 해임을 요구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