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회 문부터 열자"

국회법 개정문제가 국회 정상화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가운데 자민련 일각에서 '선(先) 국회 정상화-후(後) 국회법 개정논의'라는 '우회돌파론'이 대두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자민련의 한 당직자는 27일 "자민련이 지나치게 국회법 개정문제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일 경우 국회 파행의 책임을 자민련이 뒤집어쓸 수 있으며, 오히려 국회법개정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며 우회돌파론을 펼쳤다.

원내사령탑을 맡고 있는 오장섭(吳長燮) 총무도 "우리는 국회법 개정에 대해 의연하게 대처할 것"이라면서 "여야가 일단 국회 문을 열어놓고 협상을 통해 국회법과 민생현안을 일괄적으로 처리하면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오 총무는 '선 국회 정상화론'이 국회법과 민생현안의 분리처리로 비쳐질 것을 우려한 듯 "민생현안과 국회법을 분리해 처리하자는 얘기는 결코 아니며 국회법은 다른 민생현안과 일괄적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 총무는 "국회를 일단 정상화시켜 놓은 뒤 상임위는 상임위대로 가동하면서 정치개혁특위를 통해 국회법을 지구당 유급당원 등을 규정한 정당법 개정과 연계해 처리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측에 법사위에 계류중인 국회법 개정안을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고 압박을 가해온 자민련이 '선 국회정상화' 카드를 들고 나온 이유는 국회정상화에 적극 협조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실추된 당의 이미지를 회복시키고 나아가 국회법 개정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려는 전략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즉 국회가 열려야 17석이라는 의석을 활용해 '캐스팅 보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자민련의 존재를 알릴 수 있다는 판단을 하게 된 것이다.

이와 관련, 김종필(金鍾泌) 명예총재도 최근 측근들에게 "교섭단체 문제에 대해선 여유를 갖고 의연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자민련은 의원총회 등을 거쳐 김종호(金宗鎬) 총재권한대행의 기자회견을 통해 국회정상화와 국회법 개정문제에 대한 당의 입장을 밝히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