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방 자금지원 불가 파장-1천여 협력사 '연쇄도산' 최악 위기

28일 오전 우방의 22개 채권은행단은 서울에서 추가 자금지원 문제를 놓고 회의를 열었으나 우방이 요구한 1천107억원을 지원하지 않기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우방은 협력업체 공사대금 등으로 돌아올 어음을 막지 못해 며칠 내 부도 위기를 맞을 것으로 보여 부도 직전 법정관리를 신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방은 지난 7월부터 최종 부도에 대비해 법정관리신청을 준비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우방이 법정관리신청을 낼 경우 법원은 법정관리 인가를 위한 우방 채권단 동의 등을 확인한 뒤 최종 인가 여부를 결정한다. 최종 인가를 받게 되면 우방은 일정기간 모든 채권자들에게 채무 이행이 중지되고 원금 및 이자 상환을 위한 채무 재조정에 들어간다. 그러나 법원으로부터 법정관리 인가를 받지 못하면 파산을 맞게 되고 우방이 가진 자산은 경매를 통해 일명 '빚잔치'를 하게 된다.

우방이 최종 부도 위기를 맞으면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쪽은 입주예정자들과 협력업체.

특히 대구경북지역 2천여가구의 아파트 입주자들은 분양대금을 완납한 상태에서 소유권 이전 등기를 받지 못해 재산권 행사를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우방은 지난 6월부터 금융권 자금지원을 받으면 800여억원의 담보권을 우선 해지해줄 계획이었다.

입주자 이외에 영남권 1만5천여가구, 전국 2만여가구에 이르는 우방 아파트 분양자들은 입주 포기 또는 장기 지연이 불가피하게 됐다. 대한주택보증(주)의 보증을 받은 현장은 입주 시기가 상당히 늦어지는 불편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보증회사인 대한주택보증이 재시공 이전 확보할 수 있는 우방 채권을 최대한 받아야 하는 수순을 밟기 때문이다. 이런 과정이 지나야 우방 현장에 대한 재시공을 결정한다.

대구 수성구 옛 코오롱 부지 우방팔레스와 같은 주상복합건물은 대한주택보증의 보증을 받을 수 없어 계약자들은 채권 우선 순위에 따라 납부금 환불을 기대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대다수 우방 공사 현장은 대한주택보증이나 채권금융기관이 1순위로 담보를 잡아놓아 일반 분양자들까지 배당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일반 분양자들이 입는 막대한 피해와 함께 1천여개 우방 협력업체들은 연쇄도산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맞게 됐다.

우방 협력업체들은 최장 6개월짜리 어음을 받아놓고 부동산 담보로 시중은행에서 어음을 할인받은 경우가 많아 상당수 업체가 파산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우방 협력업체 한 관계자는 "협력업체가 기술력을 갖고 얼마나 성실하게 시공하느냐의 문제는 좋은 시절 이야기"라며 "우방의 자금지원 여부에 따라 협력업체의 생사가 갈린다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라고 말했다. 협력업체 연쇄부도는 우방으로 인한 직간접적 피해 시민을 대구에서만 10만명으로 늘릴 것으로 예상되며 그 진통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우방 부도는 지난 10년동안 지역 경제의 주도업종이었던 건설업이 사실상 사양길로 접어들었다는 증거가 되고 있다. 우방 부도로 다른 건설업체들도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우방 아파트 분양자들의 재산상 손실과 정신적 피해는 다른 건설업체의 아파트 수요자들에게 상당한 불안감을 줄 수밖에 없다. 수요자들에게 불안감이 확산돼 해당 건설업체에 자금부담을 가중시키고 결국 채산성이 나빠져 또다른 위기에 빠질 수 있다.

金敎榮기자 kimky@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