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은행불법대출사건은 급기야 대출보증 외압의 몸통이 과연 박지원장관이 맞느냐 여부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신용보증 전 지점장 이운영씨가 '기자회견이란 형식으로 "두번씩이나 박장관으로부터 대출보증을 해주라는 전화를 받았다"고 밝힘으로써 새국면에 접어든 셈이다. 물론 박장관은 "부탁을 하려면 평소 잘아는 신용보증기금 최수병이사장에게 했지 일개 지점장에게 했겠느냐"며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다. "은행인의 양심으로 대출보증을 거절했다가 그 보복으로 사직동팀의 조사까지 받고 사표종용에 못이겨 직장을 그만두고 1년6개월간 피신해온 끝에 하는 내 지금의 얘기가 진실이고 나중에 다른말로 바뀌면 외압에 의한 왜곡으로 받아들여 달라"는 이운영 전 지점장의 얘기가 전혀 터무니없다고 치부해 버리기엔 진술이 너무 논리적이고 현실성이 있다.
그렇다고 박장관의 반박논리도 정연하기는 마찬가지다. 과연 누구의 말이 진실일까. 이걸 규명해야할 검찰은 물론 일반국민들로서도 도대체 헷갈리는 그야말로 의문투성이의 해괴한 사건임엔 틀림이 없다. 우선 현실적으로 공적자금이 투입된 은행이 정상적으로 대출했다고는 볼 수 없는 1천억원이란 거액이 일개 소기업에 대출됐다. 담보도 별게없는 소기업에 그 지점의 총여신규모의 70%가 집중됐다는건 은행차원이든 지점장 단독이든 '힘있는 외부입김'없이는 불가능하다는게 은행가의 공통된 견해이다. 두번째는 대출수혜자 박씨의 동생은 당시 청와대행정관이었고 박지원 당시 공보수석이 특채한 케이스인데다 박장관은 박씨형제의 부친이 전직 국회의원으로 박장관 도미(渡美)때 보증까지 썼다고하고 두집안은 평소 교류가 잦았다는게 주변의 얘기이다. 이런 관계는 박장관의 개입설에 설득력있는 정황증거가 될만한 요인이다. 게다가 청와대사직동팀의 개입이 과연 타당성이 있느냐도 의문시되고 있다. 아무리 비리가 많다고해서 일개 보증기금 지점장비리에 개입, 그의 온갖 비리를 캐낸다는건 '사직동팀'의 생리상 있을 수 없다는게 대체적 관측이다. 이에는 박장관도 밝혔듯이 이미 이씨의 탄원서가 지난해 4월 안팎으로 떠돌았고 그걸 사직동팀에 물어보니 수사한다더라는 얘기로 봐 박장관의 관련설을 규명한다는 차원에서 사직동팀이 개입한게 아니냐는 추론도 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검찰은 이제 정면돌파로 직접 당사자들에게 접근, 그 진위를 캐내야 할 계제이다. 그런데 그 전제는 사직동팀의 실제수사 결과와 그 동기도 함께 밝혀야하고 무엇보다 중요한건 대출금의 행방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