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환경호르몬에 전국 무방비

정자를 감소시키고 인체 면역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진 환경호르몬이 국내 생태계와 환경에서 광범위하게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월공단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월등히 높게 검출됐으며,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정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일부 지역의 어류와 양서류에서는 성(性) 관련 조직 일부에서 이상현상이 관찰됐다.

환경부는 지난해 4월부터 지난 8월까지 17개월동안 생태계와 환경을 대상으로 내분비계 교란물질(환경호르몬) 잔류실태를 처음으로 조사한 결과 수질과 저질(하천.호소 바닥물질), 대기, 토양 등 113개 지점에서 환경호르몬으로 추정되는 13개 물질군, 28개 물질(조사대상 37개 물질군, 87개 물질)이 나왔다고 5일 밝혔다.이중 다이옥신의 경우 수질(평균 0∼0.502pgTEQ/ℓ)과 저질(0∼0.984pgTEQ/dry.g)에서는 검출율이 비교적 높지 않았으나 대기와 토양에서는 이보다 훨씬 높은 0∼4.448pgTEQ/N㎥, 0∼22.439pgTEQ/dry.g

이 각각 검출됐다. 대기중 다이옥신 농도의 경우 일본의 평균 검출치인 0∼1.8pgTEQ/N㎥에 비해 2.5배 가량 높다. pg은 1조분의 1g이다.

특히 경기도 안산시 반월공단내 대기에서는 최고 8.624pgTEQ/N㎥(평균 2.726pgTEQ/N㎥)의 다이옥신이 검출돼 공단지역이 인근의 상업 및 주거지역(평균 0.392pgTEQ/N㎥)보다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이 훨씬 높았다.

대표적 우점종인 개구리와 물고기를 대상으로 한 생태계 조사에서는 다이옥신과 헥사클로르벤젠 등 21개 물질군, 45개 물질(조사대상 35개 물질군, 85개 물질)이 검출됐다.

더욱이 경남 창원군 주남저수지에서 잡은 수컷 치리의 정소에서 난소에 있는 전난소막이 발견되고 경남 하동군 섬진강에서 채취한 암컷 황소개구리의 난소가 정소로 변환중인 조직이 관찰되는 등 총 124개 시료중 5개의 물고기와 개구리에서 성 관련 이상현상이 관측됐다.

청정지역인 강원도 춘천 의암호의 수컷 줄납자루에서도 암컷의 격막과 유사한 조직이 발견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환경호르몬에 대한 종합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처음으로 실태조사를 벌였다"면서 "특정유해물질관리법을 제정하는 한편 이번에 환경호르몬이 높게 검출된 지역에 대해서는 특별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