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해법없는 강경대치 당분간 지속-추석이후 정국전망

여야 지도부가 추석연휴 이후의 정국 대응책을 놓고 골몰하고 있다. 궁극적으론 파행 정국 속에서 정국 주도권을 겨냥, 이를 '빼앗으려는' 한나라당과 '안뺏기려는' 민주당이 전략 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양상인 셈이다. 때문에 정국 기류가 당분간은 양측간에 첨예한 대치상황을 거듭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당은 물론 한나라당 조차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국회파행 장기화 조짐에 따른 부담감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에서 절충점을 모색하려는 움직임도 가시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여야는 연휴 마지막날인 13일 각각 여의도 당사에서 대책 회의를 갖고 의견을 조율했다. 민주당은 그러나 정국 해법에 대해 아직 기존의 입장에서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즉 야당의 무조건적인 국회 등원과 법과 원칙에 따라 문제를 풀어나가기로 한 김대중 대통령의 입장표명을 재확인하는 수준이었다. 청와대 측 의중을 좇기에 급급한 처지다.

때문에 당내 일각에선 "김 대통령이 직접 나서 정국을 풀어야 할 시점"이라는 목소리도 들리고 있다. 그렇다고 김 대통령이 나서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섣불리 개입할 경우 이후 정국에 대한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는 부담감도 있기 때문.

결국 일차적으론 당 차원에서 나설 수밖에 없는 처지여서 연휴 직후부터 다각적인 대야 채널을 동원키로 했으며 우선 최고위원들을 풀 가동, 시드니 올림픽이 끝나는 내달 2일까지 접촉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한나라당은 이회창 총재가 연휴동안 가회동 자택에 머물며 주요 당직자들과 대책을 논의했으며 13일엔 당사에서 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그러나 아직 종전 입장에서 별 다른 변화를 감지하기 어렵다. 즉 국회법 날치기에 대한 사과와 함께 선거비용 실사 의혹과 '한빛게이트' 등에 대한 특검제 도입 주장 등이 여전하다.

이에 따라 오는 18일쯤 대구를 시작으로 경남.북을 순회하는 장외투쟁에 돌입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당내에선 원내.외 병행투쟁을 주장하는 온건파의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으며 비판 여론도 가세하고 있다. 게다가 추석연휴 이후 경의선 복원 공사와 이산가족 재상봉 등 남북한 관계가 또 다시 정치권의 핫 이슈로 등장하게 된다.

정국 대응방안을 둘러싼 여야의 고민도 가을밤과 함께 깊어질 수밖에 없을 것 같다.

徐奉大기자 jinyoo@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