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제를 배웁시다-총액한도대출

우방 부도대책의 하나로 나온 총액한도대출이 관심을 끌고 있다. 연 3%라는, 공짜나 다름없는 금리 덕분인지 이 대출을 취급하는 한국은행에는 기업들의 대출문의가 쏟아지고 있다.

아쉽게도 이 자금은 한국은행이 은행 등에만 제공하는 것이다. 기업이 은행 등을 통해 이 자금을 쓸 때는 일반대출금리와 별 차이가 없거나 조금 낮을 뿐이다.

금융기관의 중소기업 대출을 유도하기 위해 대출금의 절반을 한국은행이 해당 기관에 저리로 지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제도가 도입된 것은 94년 3월. 당시 8조8천억원이었던 한도는 계속 줄어들다 외환위기를 계기로 다시 늘어나 현재 7조6천억원에 이른다.

대구·경북에는 5천639억원이 배정돼오다 이번 우방사태로 500억원 더 늘었다. 기업대출 실행효과는 배정액의 2배인 1조2천억원으로 지역 예금은행 총대출의 6% 정도 된다.

지역금융기관에 대한 배정 기준은 중소 제조업체에 대한 대출실적을 위주로 한다. 정보통신, 패션디자인 등 일부 서비스업에 대한 실적, 기업구매자금대출 등도 주요 기준이다.

이번 우방 협력업체에 대한 지원은 적용대상이 건설업으로 확대됐음을 의미한다.

한국은행 대구지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